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동리의 「무녀도」 개작 연구- ‘무’의 강조와 한계 (A Study on Adaptation of Munyeodo by Kim Dong-ri- The Emphasis and Limitations of "Korean Shaman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김동리의 「무녀도」 개작 연구- ‘무’의 강조와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8호 / 351 ~ 382페이지
    · 저자명 : 채예람

    초록

    김동리(1913∼1995)의 작품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랫동안 거론되는 작품은 「무녀도」(1936)이다. 「무녀도」가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사유의 장에 떠오른다는 것은 그 서사가 다양한 해석을 허락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무녀도」가 다양하게 전유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개작’에 있음을 밝히며 출발한다. 김동리 작품 해석에서 개작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 글의 목표는 「무녀도」의 거듭된 개작에서 드러나는 작가 김동리의 의도와 개작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균열을 포착하려는 데에 있다.
    「무녀도」의 개작은 ‘무’의 세계, 즉 조선의 고유한 얼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졌다. 김동리는 ‘무’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기독교를 서사 전면에 끌어들였는데, 오히려 이 전략이 「무녀도」를 종교 간의 대립으로 파악하게끔 만들었다. 즉, 「무녀도」는 개작을 거듭할수록 주제가 선명해지기보다는 어떤 판본을 읽느냐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개작은 조선의 고유한 것으로서 ‘무’의 실제를 드러내는 방식이기보다는 기독교적인 것의 대타항으로써의 ‘무’가 강조되도록 만들었다.
    김동리는 「무녀도」를 몇 번이고 고쳐 쓰는 작업을 보여주며 끊임없이 작품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작가적 순수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동시에 작품의 고쳐쓰기 전략이었던 근대/정치적 기제인 기독교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김동리는 본인의 순수문학 자장 밖으로 위치 지어졌다. 「무녀도」는 김동리가 일생동안 주장한 ‘순수문학’의 기획이 ‘정치과잉의 논리’라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영어초록

    Munyeodo(1936) is one of Kim Dong-ri(1913∼1995)'s work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the longest years in his creative world. It is still discussed at the venue of ideas in various ways because its narrative is in a form that allows for diver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began by demonstrating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diverse appropriations for the novel was "adaptation," which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 intentions revealed in the repeated adaptations of the novel and its cracks observed in the adaptation process.
    Its adaptations were intended to emphasize the world of "Korean Shamanism" or the unique soul of Joseon. Kim brought Christianity to the front line of its narrative to put an emphasis on "Korean Shamanism." This strategy caused readers to understand the novel as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religions. The topic of the novel did not become clear according to repeating adaptations. Instead, it got to have the possibilities of being rea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editions. Adaptation was not a way of revealing the truth of "Korean Shamanism" as something unique to Joseon, but an antithesis to something Christian to emphasize "Korean Shamanism." As a writer, Kim obtained the purity of seeking after the completeness of his works constantly through rewri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failed to grow out of the Christian domain that was a modern/political mechanism as his rewriting strategy, thus being placed outside the magnetic field of his pure literature. Munyeodo is one of his most important works to show that his planning for "pure literature," which he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had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 excess" connoted 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