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중세 ‘서역 3대무’의 중원 유입과 전개양상 : 호선무 · 호등무 · 자지무를 중심으로 (The Influx and Diffusion of the Western Regions’ Akmu into the Central Plain of China: Based on the Huxuanwu, Hutengwu, and Zhezhiwu)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12
21P 미리보기
중국 중세 ‘서역 3대무’의 중원 유입과 전개양상 : 호선무 · 호등무 · 자지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39권 / 141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채문

    초록

    실크로드를 거쳐 중원(中原)에 전래된 서역 악무 가운데 당나라 때 널리 유행한 것으로는 호선무(胡 旋舞)․호등무(胡騰舞)․자지무(柘枝舞)의 이른바 ‘서역 3무’를 꼽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서역 3무’에 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반면 국내의 사정을 살펴보면, 고구려 호선무와 서역 호선 무, 고려 당악정재(唐樂呈才) <연화(蓮花臺)>와 자지무의 상관성에 관련한 고찰이 있었고 또 시가(詩 歌) 자료를 통한 상 악무에 한 고찰이 있었으나 악무문화의 유입과 전개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류를 통한 동아시아 악무 문화의 수용과 전개 사례를 살핀다는 취지에 서 ‘서역 3무’로 지칭되는 호선무․호등무․자지무를 중심으로 서역 악무의 중원 유입 과정과 전개 양상을 고찰하다. 서역의 악무가 중원에 유입된 역사는 오래되었으나 역사서의 기록이 분명하지 않아 어떤 악무가 언 제 유입되었는지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당나라의 표적 궁중 악무인 건무(健舞)와 연무(軟舞)에 도 서역 악무가 적지 않았다는 사실이 『교방기』와 『악부잡록』의 기록에서 확인되고, 또 수․당 시기에 서역 악무가 부기(部伎)로 편성된 점으로 볼 때, 서역 악무는 그보다 앞서 중원에 전해졌음에 분명하다. 역사기록에 따르면, 중원과 서역의 악무 문화 교류는 이미 한나라 때부터 시작되었고, 위진남북조에 이르러 거 유입되었으며, 수․당을 거치는 동안에는 최고조에 달하다. 서역의 고유한 기풍을 지닌 호선무․호등무․자지무는 중원에 전해진 이후에 교방(敎坊)에서부터 군(軍營), 사부가의 가기(歌妓)에 이르기까지, 또 도성인 장안(長安)에서부터 절강(浙江)․호남(湖 南)․사천(四川) 지역까지 전해져 중원의 한족 악무와 점차 융합하고 변천되었다. 따라서 서역 악무의 중원유입은 중세 중원 악무문화 발전에 큰 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서역 악무는 중원의 오랜 전통을 지닌 악무 문화와 어우러져 새로운 악무문화를 창조하는데, 아악(雅樂) 중심의 중원 악무에 중성을 더하여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악무문화로 바꿔놓았다. 본고에서는 ‘서역 3무’를 상으로 하여 그것이 서역으로부터 중원으로 유입되어 전개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본 바, 향후에는 그것이 중원으로부터 제3의 지역 또는 국가로 다시 전파되고 변용된 양상에 한 고찰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Among the songs and dances of the western regions that spread, via the Silk Road, to the central regions, Hoseonmu, Hodeungmu, and Jajimu—which are the “three dances of the western regions”—were widely popular during the Tang Dynasty. For this reason, they have been the focus of many studies in China. In Korea,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Hoseonmu of the Goguryeo Dynasty and that of the western regions, and between the Yeonwhadae, which is the Dangak-jeongjae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jimu. Whi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songs and dances based on the poetic literatur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song and dance. Thus, this paper aims to explore songs and dances that were introduced and developed in the East Asian region through exchanges, considering how they were first introduced and then expanded to the central regions by focusing on the three major western dances: Hoseonmu, Hodeungmu, and Jajimu. The songs and dances of the western regions were introduced to the central regions long ago, and it is not clear when the different songs and dances were introduced. Since Gyobanggi and other records state that many western songs and dances were found in Geon-Mu and Yeon-Mu, which were representative court songs and dances during the Tang Dynasty, it is clear that the western songs and dances were introduced to the central regions before the Tang Dynasty.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the cultural exchange of songs and dances between the two regions started during the Han Dynasty, were promoted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reached their peak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Hoseonmu, Hodeungmu, and Jajimu held the unique spirit of the western regions and spread from the major cities to Chekiang and from Haizhu to Szechuan, influencing not not only Gyobangs but also military camps and even the nobility. In doing so, they converged with the songs and dances of the Han people in the central regions. In this regard, it is safe to say tha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ongs and dances to the central regions had a grea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ngs and dances in the central regions during the Middle Age. The songs and dances of the western regions converged with those of the central regions and created a new culture of song and dance. By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these songs and dances, which were mostly court music and dances, a new singing and dancing culture was created that everyone could enjoy.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he three dances were introduced to, and developed in, the central regions. Studies are required on how they spread to, and were transformed in, other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