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腎無實證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heory of there being no excess pattern of the Kidne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8
20P 미리보기
腎無實證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34권 / 3호 / 1 ~ 20페이지
    · 저자명 : 윤기령, 안진희

    초록

    Objectives : 錢乙 이전 腎實證에 대한 내용과 錢乙 이후 腎無實證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腎實證에 대응되는 瀉腎法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서 腎無實證의 이론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온 배경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Methods : 四庫全書 등 검색 DB에서 腎實, 腎無實, 瀉腎 등을 검색하여 腎實證과 腎無實證을 언급한 역대 의서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Results & conclusion : 『內經』에서는 腎實證의 증상으로 많은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 腎無實證의 이론은 錢乙을 연원으로 하는데, 소아에 국한하여 腎主虛를 주장하였지만 이후의 의가들 중 일부는 이 腎主虛를 소아뿐만이 아닌 인체의 전반적인 원칙으로 적용하였다. 腎無實證의 이론의 근거로 腎에 비록 實證이 있더라도 기전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 腎虛를 전제로 하여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先天之本으로서 생식 능력과 성장, 발육을 담당하는 腎을 강조하면서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은 보존해야 하는 것이고 瀉하지 않는 것으로 이론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한다. 대체로 『內經』 이후 제시되었던 腎實證의 증상들이 다른 臟腑의 辨證이나 虛證의 범주 안에서 다뤄지면서 腎實證으로 辨證하는 것이 점차 적어지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how the theory of there being no excess pattern of the Kidney has been carried on by looking at contents on Kidney excess patterns pre-Qianyi and at those negating the possibility of Kidney excess post-Qianyi. The history of the Kidney draining method for Kidney excess patterns was studied as well.
    Methods : Key words such as 腎實, 腎無實, 瀉腎 were entered into major database such as the Sikuquanshu to excavate contents on both Kidney excess and non-excess from medical classics.
    Results & Conclusion : In the Neijing, there are few mentions of symptoms due to Kidney excess. The theory of Kidney non-excess marks its beginning with Qianyi, who argued that Kidney manages deficiency in children only. Afterwards, some doctors expanded this theory beyond children and applied it as a general principle of the body. Based on the theory of there being no excess of the Kidney, it could be thought that while there could be excess symptoms of the Kidney, the root mechanism lies in Kidney deficiency. The importance of the Kidney as the basis of heaven-bestowed life, which is responsible for reproduction, growth and development, is what motivated the theories on the Kidney as what needs to be preserved and never drained. It could also be argued that the symptoms of Kidney excess, which were mentioned post-Neijing, got dealt with within the context of other Zhangfu differentiation patterns and deficiency symptoms, and became increasingly less designated to Kidney ex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