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동수의 생애와 무예관 (Baek Dong Su’s life and view of Martial ar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10
26P 미리보기
백동수의 생애와 무예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37호 / 189 ~ 214페이지
    · 저자명 : 곽낙현

    초록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정조대에 무인으로 활동한 백동수라는 인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연구의 목적은 『무예도보통지』 편찬에 반영된 백동수의 무예관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동수는 1743년(영조 19)년부터 1816년(순조 16)까지 살았던 무인이다. 수원백씨로 증조부는 백시구, 조부는 백상화, 부친은 백사굉이다. 2남 1녀 중 장남이다.
    둘째, 백동수의 관직은 1788년(정조 12)에 장용영 초관으로 시작하여, 1790년(정조 14) 6월 훈련원주부로 발탁, 1791년(정조 15) 4월 훈련원판관으로 임명, 1792년(정조 16) 윤4월 충청도 비인현감에 임명되었다. 1802년(순조 2) 평안도 박천군수에 임명되어 1806년(순조 6) 5월까지 역임하였다. 이후 1816년(순조 16) 그의 나이 73세에 세상을 떠났다.
    셋째, 백동수의 학문적 교유관계는‘백탑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성대중 등과 학문을 논하였다.
    넷째, 백동수의 『무예도보통지』 편찬 역할은 무예를 발로 직접 뛰어다니면서 눈으로 확인하여 무예실기의 오류를 바로 잡고, 하나의 통일된 기법으로 정리하는 것과 24가지 무예를 각 군영에 보급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다섯째, 백동수의 무예관은 무예의 표준화이다. 『무예도보통지』는 명물도수의 기준으로 실용적인 관점에서 편찬되었다. 이를 통해 모든 군영에 하나로 통일되고 획일화된 표준무예를 보급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Baek Dong Su who was martial art activist in Jeongjo period in late Joseon. This study aims to define Baek Dong Su's view of martial art applying to compile of Muyedobotongji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in these.
    First, Baek Dong Su is a military man(1743-1816) His family name is originated from Suwon Baek. his great grandfather is Baek, si-gu, grandfather is Baek, sang-hwa and father is Baek, sa-gwang. He is the first child of two sons and one daughter.
    Second, He started his first public office in Jangyongyeong in 1788. The next year. he was selected Hullyeonwon Ju-bu. In April 1791, he was appointed at Hullyeonwon pan-gwan and promoted Biin hyeon-gam in Chungcheongdo. 1792 He was appointed as a Bakcheon gun-su in Pyeongando and successively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until 1806 and he died in 1816 at the age of 73.
    Third, Baek Dong Su's academic interaction is comprised of Baek-tappa. He discussed study with Park ji-won, Park, je-ga, Lee deok-mu, Seong Dae-jung etc.
    Forth, his job of publishing 『Muyedobotongji』 is to check the mistakes of martial art performance directly and organizing martial art skills in the united way. and he was in charge of practical part in distributing 24 martial skills to various military camps.
    Fifth, His view of martial art is the standardization of martial art. Muyedobotongji was complied at the point of practical use. He tried to distribute united and standardized martial art to every military cam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