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求貿를 통한 물품교역의 폐단과 조선의 대응 (The harmful effect of Commodity Exchange through Gumu trade(求貿)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Response of Jose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조선후기 求貿를 통한 물품교역의 폐단과 조선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65호 / 97 ~ 123페이지
    · 저자명 : 이승민

    초록

    조선후기에는 교역이 이루어지는 시기나 거래되는 물품의 종류 등이 정해지지 않은 조금은 특이한 형태의 교역방식이 존재하고 있었다. ‘求貿’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求貿란 막부로부터 대조선외교 및 무역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은 쓰시마(對馬) 측에서 섬 내외의 사정에 따라 특정한 물품의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물품을 특정해 조선 측에 교역을 요청해 오고, 조선 정부에서는 이에 관한 사안을 심의해 교역 여부를 결정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구무를 통해서는 매우 다양한 물품들이 교역되고 있었다. 쓰시마가 교역을 요청한 물품은 수백여 가지에 달하며, 이러한 물품들은 쓰시마로 건너가 섬 내부에서 사용되거나 혹은 쓰시마를 경유해 막부 측으로 진상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무는 ‘조선정부-쓰시마-일본막부’로 연결되는 특수한 관계 내에서 이루어져 당시 조일관계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쓰시마의 구무 요청은 기본적으로는 쓰시마 내의 필요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그러한 필요 이면에는 귀한 물품의 진상을 통한 쓰시마도주의 대막부 교섭 측면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쓰시마는 원래 규정된 공・사무역을 통하는 것보다 구무를 통해서 훨씬 다양하고 질 좋은 물품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쓰시마에서는 섬 내외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쓰시마는 여러 가지 이유로 조선에 구무를 통해 교역한 물품을 참근교대로 에도에 갈 때 막부에 가져가 쇼군이나 집정 등에게 접대용으로 사용하면서 막부 내에서 자신의 입장을 세울 수 있었다.
    그러나 교역 과정에서는 쓰시마 측의 빈번한 물품 요청과 물품을 조달하는 데 드는 조선 측의 부담, 그리고 잘못된 문서의 양식 등에 따라 적지 않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었고, 결국 그것은 결국 조선의 부담과 불편을 담보로 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쓰시마를 매개로 형성된 일본과의 간접통교관계를 원활하게 이끌어나가고자 한 조선 측의 의도와 방법 중 하나로 구무라는 교역방식이 꾸준히 유지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lightly unusual type of trade method in which the timing of trade or the type of goods to be traded were not determined. That’s what’s called ‘Gumu trade(求貿)’. Gumu trade means that Tsushima, who has been delegated the authority to diplomacy and trade with Joseon by the Bakufu, specifically requests Joseon to trade when there is a need for a specific item depending on circumstances inside and outside the island, and the Joseon government deliberates on the issue to decide whether to trade.
    A wide variety of goods were being traded through Gumu trade. There are hundreds of goods that Tsushima has requested for trade. And these items were mainly used to cross to Tsushima and be used in the island or to serve the Bakufu via Tsushima. Therefore, these Gumu trade were made within a special relationship that led to the ‘Joseon government-Tsushima-Japan Bakufu’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Japan relationship at that time. Tsushima’s Gumu trade request basically started with a need within Tsushima. However, behind such a need, the aspect of negotiations on the Bakufu of Tsushima through the act of offering precious goods cannot be overlooked. Tsushima was able to secure much more diverse and high-quality goods through Gumu trade than through the originally prescribed public trade and private trade. Through this, Tsushima was able to meet the needs of both inside and outside the island. For various reasons, Tsushima was able to establish his position within the shogunate by taking goods traded through Gumu trade to the shogunate during the Edo period and using them as entertainment for shogun and consuls.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de, there were many harmful effects due to frequent requests for goods from Tsushima, the burden of procuring goods from Joseon, and the form of wrong documents. In the end, it was ultimately based on the burden and inconvenience of Joseon. Nevertheless, it seems that the Gumu trade method was able to be maintained steadily as one of the Joseon’s intentions and methods to smoothly lead indirect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formed through Tsushi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