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武寧王妃 은팔찌 銘文의 再檢討 (Review of the Inscription Carved on the Silver Bracelets of the Queen Muryeong(武寧王妃))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武寧王妃 은팔찌 銘文의 再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7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기호철, 배재훈

    초록

    1972년에 발굴된 무령왕릉은 왕과 왕비의 합장릉으로, 왕의 오른쪽에 묻힌 왕비가 왼손에 찬 은팔찌 한 쌍에는 똑같은 내용을 담은 글이 17자씩 새겨져 있었다. 발굴보고서에서는 이를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卅主耳”로 판독하였으며, 앞의 8자를 경자년(520) 2월에 多利가 만들었다고 하였다. 특히 팔찌를 만든 ‘다리’는 일본 法隆寺釋迦三尊像光背명문에 보이는 불상을 만든 ‘止利(とり)’와 상통하며 ‘지리’는 ‘다리’가 속하던 백제의 工匠집안에서 갈려 나왔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후 연구자들은 ‘다리’를 큰 의심 없이 백제의 장인 이름으로 이해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主’는 ‘銖’와 같은 무게의 단위이거나 ‘炷’와 같은 수량의 단위일 것으로 추정하여 대체로 “경자년에 多利가 만들었으며, 大夫人것으로 230主가 사용되었다.”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은팔찌에 보이는 ‘다리’와 일본의 ‘지리’라는 인물 사이에는 100년 이상 연대 차이가 있는 데다가, 渡來人지리의 선대를 살펴보아도 지리나 다리를 인명에 사용한 예가 없었다. 시공을 무시하고 단지 양자의 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이를 이름으로 추정한 것은 온당하지 않다. 게다가 ‘卅’으로 보았던 것은 ‘世’로 보아야 하고, ‘分’으로 읽은 글자는 두 팔찌에 새겨진 글자가 사뭇 달라 ‘兮’, ‘於’, ‘永’ 등으로도 읽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문장을 다시 대입하여 분석하고 삼국시대 木簡등을 살펴 “庚子年二月. 多利作大夫人, 永二百世主耳.”로 읽고 문장을 분절하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무령왕비를 ‘다리작 대부인’으로 일컬었다고 보아야 하며, ‘永二’의 ‘二’를 疊字부호 ‘ ’로 보아 ‘永永’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이를 “경자년 2월에 만들었다. 다리작 대부인이 영원토록 백세의 소유주이실 뿐입니다.”라고 번역할 수 있었으며, 이는 팔찌의 주인 무령왕비를 祝壽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ame seventeen characters were inscribed on a pair of sliver bracelets worn on the left hand of the Queen buried on the right side of the King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which were discovered in 1971.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ports at that time, the full characters were read as “Kyung Ja Nyeun Yi Wael Da Ri Jak Dae Bu In Bun Yi Baek Sab Ju Yi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卅主耳)”. The former eight characters were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作) by Dari (多利) in February (二月) of the Year of Kyungja (庚子年, 520 CE). Particularly, the person ‘Dari’ believed as the producer of the bracelets was considered to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Jiri’ (止利: とり) whose characters were inscribed as the producer on the back of the Buddha Triad statue (釋迦三尊像) in Horyu-ji (法隆寺) in Japan. It has been assumed that Jiri was descended from the family of artisan during Baekje period which Dari belonged to. Due to the translation based on the excavation reports, the Dari has been understood undoubtedly as the name of an artisan in Baekje. It was also translated by subsequent studies that ‘Ju (主)’ should mean either a unit of weight equivalent to ‘Su (銖)’ or a unit of quantity equivalent to ‘Ju (炷)’. Consequently, overall meaning of the seventeen characters has been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by Dari in the year of Kyungja, owned by Daebuin and made from 230 Ju (主) of sliver.”However, there is over one hundred years time discrepancy between ‘Dari’ written on the bracelets and ‘Jiri’ from Japa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tudy into the predecessors of ‘Toraijin (渡來人)’ Jiri, neither Jiri nor Dari had been used ever for a name of person. It could be fallible therefore to explore a person’s identity merely with a name pronounced similarly neglecting space-time. Additionally, it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t ‘Sab (卅)’ should be read as ‘Sae (世)’. Since the character understood as ‘Bun (分)’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carved character on the bracelets, it could be read as either ‘Hae (兮)’, ‘Oh (於)’ or ‘Young (永)’.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full sentence employing ancient documentary records ‘Inscribed Wooden Slip (木簡)’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seventeen characters should be deciphered and articulated as “Kyung Ja Nyun Yi Wal. Da Ri Jak Dae Bu In, Young Young Baek Sae Ju Yi. [庚子年二月. 多利作大夫人, 永百世主耳.]”. H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Queen of Muryeong seems to be addressed as ‘Darijak Daebuin’. ‘Youngyoung (永)’ should be Youngyi (永二)’ because the ‘Yi (二)’ can be considered as the symbol standing for reiterative. Consequently, the full seventeen characters should be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in February of the year Kyungja. Darijak Daebuin is the owener of Baek Sae forever, which may imply pray for the live long of the Queen of Mur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