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기술된 ‘有/無+목적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타동성의 관점에서 본 ‘有/無+목적어’ - (Problems of ‘有/無+object’ describ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Department, and Improvement Plan thereof - ‘有/無+objec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ivit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10
34P 미리보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기술된 ‘有/無+목적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타동성의 관점에서 본 ‘有/無+목적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5권 / 193 ~ 226페이지
    · 저자명 : 공민식

    초록

    본고는 교육과정에 기술된 술목 관계의 문제점을 ‘有/無’ 서술어 중심으로 살펴보고, 교육과정 상의 술목 관계 설정과 그간 논란이 되었던 예시문 들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타동성(Transitivity)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문장성분으로서 목적어를 구분할 때 타동성과 논항의 의미역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목적어는 타동성이 있는 서술어의 지배(government)를 받을 때 그 타당성을 높게 인정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목적어 범위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타동성(Transitivity)은 비대칭적 관계의 두 참여항과 관련된 것으로, 서술어가 나타내는 행위나 상태의 영향이 한 참여항으로부터 다른 참여항으로 옮겨지는(transferred) 통사 의미적 관계를 뜻한다.
    이러한 타동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Hopper&Thompson(1980)의 타동성 분석인데,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문의 타동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참여항(Participants), 동작성(Kinesis), 행위자성(Agency), O의 피영향성(O-affectedness)의 4가지 자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所有의 ‘有/無’ 서술어를 분석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행위자성(Agency) 측면에서 所有의 ‘有/無’ 서술어 앞에 위치한 유정명사구는 대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주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둘째 동작성(Kinesis) 측면에서 所有의 ‘有/無’ 서술어는 ‘所有의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所有의 상태’를 나타낸다.
    셋째 O의 피영향성(O-affectedness) 측면에서 所有의 ‘有/無’ 서술어 뒤에 이어지는 명사성 성분은 ‘행위자의 영향력’이 미치는 대상이 아니라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의 대상이다.
    결론적으로‘有/無’서술어는 목적어를 필요로하는 타동성을 지닌 일반적인 서술어와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교육과정 상의 서술어와 그 뒤에 이어지는 성분의 의미 관계를 타동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所有의 ‘有/無’를 삭제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所有의 ‘有/無’서술어는 교육과정상 술보관계의 개념에 부합하므로 따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밝힌다.
    교육과정의 학교 문법은 교수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 중요한 토대가 된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교육과정 상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blem in the predicate-object relation described in the curriculum with focus on ‘有/無 predicate’, and examined the ‘predicate-object rela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validity status as to the hitherto controversial sample sentences on the basis of Transitivity.
    It’s important to look into the transitivity, and the semantic role of an argument when classifying an object as sentence component. It’s because an object can be highly acknowledged for its validity when it is governed by a predicate having transitivity, and the consequential scope of an object is set.
    Generally, Transitivit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two participants in an asymmetrical relation, referring to the syntactic semantics relation, in which the influence of the action, or state indicated by a predicate is transferred to the other participant from one participants.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verifying such Transitivity is Hopper&Thompson(1980)’s Transitivity Analysis, on the basis of which this paper selected four sorts of qualities, i.e. Participants, Kinesis, Agency and O-affectedness in grasping the Transitivity of Chinese classics. In addition, this paper could draw a conclusion as follows only after the analysis of the ‘有/無’ predicate of possession through the above four qualities.
    First, from the Agency aspect, the animate noun phrase placed before ‘有/無’ predicate of possession fails to function as an Agent which can have an influence on an object.
    Second, from the Kinesis aspect, the ‘有/無’ predicate of possession indicates not ‘an action of possession’ but ‘a state of possession.’ Third, from the O-affectedness aspect, the nounal constituent following the ‘有/無’ predicate of possession is not an object, to which a doer’s influence is projected but an object as a means of assistance for explaining the state of a subject.
    Conclusively, ‘有/無’ predicate doesn’t have Transitivity, through which the influence of an action, or a state is transferred to an object i.e. a Theme from an Agent; therefore,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predicate in need of an object.


    In conclusion, this writer sees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predicate and its subsequent constituent specified in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ivity, and proposes that ‘presence/non-presence’ of possession should be deleted. Also, this writer makes it clear that there is no need to describe the ‘presence/non-presence’ predicate of possession separately because it matches up with the concept of the predicate-complement relation for the sake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school grammar is to get students to understand a sentence in Chinese characters easily and clearly. Hereupon, this writer proposes that it might be necessary to reflect the clear arrangement of the part, which is very confus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at a school field, in the curricul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