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반도 중서부 지방 주거지와 지석묘의 공간분석에 대한 시론 - 환경요인(environmental elements) 분석을 중심으로 - (A spatial analysis of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a focus on environmental element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06
33P 미리보기
한반도 중서부 지방 주거지와 지석묘의 공간분석에 대한 시론 - 환경요인(environmental elements)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6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선우

    초록

    기존 청동기시대의 지석묘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지석묘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은성과를 이루었으나, 주거지와의 관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적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대규모 발굴의 증가와 발굴자료의 축적으로인해, 청동기 시대를 종합적· 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고 사료된다.
    이에 지금까지 축적된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지석묘와 주거지 자료를 중심으로 청동기시대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유추·고찰해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써, 한반도 중서부(서울·인천·경기도)지역의 주거지 유적와 지석묘 유적의 위치에 남겨진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을이용한 공간분석을 통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지면관계상 자연환경적 요소(environmental elements:토양 분석(pedology)·수리 분석(hydrology)·지형 분석(topography: 경사 방향(Aspect), 경사도(Slope) 및 고도(Elevation) 분석))에 대한 분석만을 다루었다.
    자연환경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생계경제방식의 변화, 특히 농경의 전개가 청동기시대인들의 주거와 매장지의 위치 선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벼농사와밭농사에 적합한 토지조건을 가진 지역에 주거지와 지석묘가 자리하고 있었다. 대체로유적들이 지류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산임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청동기시대인들이 그들이 처한 자연 경관과 환경적 특징들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이론화되기 이전의 풍수의 개념이 이미 청동기시대 한반도 거주민들의 의식 속에 자리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웠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s and monuments (dolmens) of the Bronze Age (c. 1500~400 BC)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mainly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 change in the subsistence economy might have prompted an alteration of a landscape by people in order to create new settings for agriculture. The traces of this remolding can be rea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ettlements and monuments and the patterns they form. In order to look at what elements affect the positioning of the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e environment during the Bronze Age, sever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he following: 1. How near were the most fertile soils for rice and upland agriculture to the settlements and monuments? 2. How did their positions change through time? 3. What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numents and settlements and water? 4. What were their topographical features in terms of aspect, slope, and elevation of the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and result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s/monuments and natural features including soil types and distance from water sources as well as aspect,slope, and elevation. As a result, the location of settlements and monuments across appropriate soils for rice and upland crops seems to reflect the trends of the Bronze Age subsistence economy. The analyses of the distance from water to the sites of the dead have found that they tend to be located in closer proximity to water sources than the sites of the living. Together with these outcomes, the results of the topographical analyses have reminded me of the ideal topography of Baesanimsu (背山臨水), which means ‘to be situated to face a river with one’s back against a hill'. Even though a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it may be possible to claim that Pungsu (風水)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latent concepts on the Korean peninsula dating from the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