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의 벽화고분과 화상석묘 존재 가능성 고찰 - 신문왕릉과 황복사지 위치비정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a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the Tombs of Mural and Pictorial Stone in Unified Silla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omb of King Sinmun and Hwang)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04
43P 미리보기
신라의 벽화고분과 화상석묘 존재 가능성 고찰 - 신문왕릉과 황복사지 위치비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3호 / 179 ~ 221페이지
    · 저자명 : 강봉원

    초록

    본 논문은 신라의 수도 경주에도 벽화 고분과 畵像石을 가진 횡혈식 석실분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대해서 역사 및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검토한 것이다. 경주 남산 서록의 삼릉에 있는 傳 神德王陵은 벽화고분과 일제 강점기 경주 충효리 석실분에서 검출된 龍紋 石柱는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하는 좋은 고고학 자료임을 부각시켰다. 특히 16세기말 홍성민이 작성한 ≪계림록≫에 해와 달이 새겨져 있던 석실분을 실견하였다는 내용을 소개하였다. 통일신라 화상석묘의 축조를 구체적으로 시사하는 이 역사자료를 제시하여 본고에서 주장된 내용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경주 구황동 소재 전 황복사지 3층 석탑에서 검출된 청동제 사리함 뚜껑에 있는 명문 내용, 이 사지 인근에서 지표 채집된 ‘皇福’과 ‘王福’의 명문이 새겨진 와편, 1968년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12지신 상의 일부, 그리고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신문왕 葬地와 관련된 기사를 종합하여 검토할 때 이 사찰은 ‘황복사’로, 그 동편에 있는 원형의 석렬 유구는 신문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horizontal tombs that have mural paintings and pictorial stone may have been construct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Kingdom,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order to justify this argument, a few archaeological examples and historical documents were utilized. In particular, the putative tomb of King Sindeok,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Mountain in Gyeongju was briefly introduced. Because it turned out to be mural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conducted by both Japanese and Korean archaeologists respectively in the past. In addition, one horizontal tomb excavated by a Japanese archaeologist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hoonghyo-dong, Gyeongju, was also briefly mentioned. Because it yielded a stone post on which a dragon was carved. These are material evidence to indicat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ombs which had mural paintings and pictorial stone were constructed in Gyeongju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Silla. Particularly,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ical document of ≪Gyerim-lok≫ compiled by Seong-min Hong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provides a direct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the pictorial stone tomb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On the other hand, combining the inscriptions which appear on a gilt-bronze Sarira container lid and three different roof tiles on which the Chinese characters of either ‘Hwang Bok’(皇福) or ‘Wang Bok’(王福) are inscribed, some of the twelve cyclical animals of the Chinese zodiac stone statues exposed by archaeological excavation carried out in 1968, and historical account concern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omb of King Sinmun appearing in the ≪Samguk sagi≫, it is argued that the ruined Buddhist Temple and the putative royal tomb should be designated as Hwang Bok-sa Buddhist temple and the tomb of King Sinmun resp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