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學의 계승과 禮安光金의 家族文化 妙合으로 창조적인 선비文化 形成 (Development of Creative Seonbi(Gentry) Culture Through the Ingenious Reconciliation of Family Culture of Ye’angwang Kim’s Study of Toegye)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8.12
50P 미리보기
退溪學의 계승과 禮安光金의 家族文化 妙合으로 창조적인 선비文化 形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5호 / 395 ~ 444페이지
    · 저자명 : 김익수

    초록

    퇴계(退溪;1501-1570)가 주축되어 청량산을 중심으로 道學이 크게 발흥되어 위상(位相)이 크게 높아지는 거점이 된 것이다. 이러한 큰 결실이 맺어지도록 뒷받침이 되기는 단연 오천리(烏川里)에 거주한 예안광김인(禮安光金人 )들의 힘이 컸다고 할 수 있다, 처음으로 기반을 마련하기는 고려시대의 平海人 황재(黃載)가 안동(安東)의 풍산(豊山)에 거주하던 金孝之를 사위로 맞이한데서 비롯되어 光山金氏世居地가 되었는데 金孝之는 金孝盧를 후계자로 기반을 물려줌으로써 사실상 세칭 “禮安派”의 入鄕祖가 된다.
    광산김씨 良簡公(金蓮)系 인 金士元, 김진 (金稹)등이 上京從祀하여 在京文班의 名文家로 등장되었다. 더구나 金士元이 고려때 충열왕때에 주자학을 전래한 안향(安珦1243-1306)의 사위가 되고 김방경(金方慶; 1212-1399)의 사위인 權允明의 딸과 혼인을 하여 順興安氏, 安東金氏, 安東權氏와 혼맥 을 통하여 영남지역과 연관을 맺게 된다.
    金稹의 5男 김천리(金天利)의 아들 金務가 안동김씨 서린(瑞隣)의 딸과 혼인하게 되어 아예 고양(高陽) 지방을 떠나 안동의 豊山에 정착한다,
    고려시대에 중앙에서 유력한 家門으로 등장했던 金天利家(광산김씨 17세)系가 안동으로 이주(移住)한 내력은 알 수 없지만 조선조 건국에 동조하지 않은 정몽주(鄭夢周)정신을 이은 길재(吉再)등으로 이어진 사림들과 공감대를 형성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조선조 중기에 광산김씨 예안파 집성촌 오천리를 <군자리(君子里)>라고 하는데 『宣城邑誌』에는 다음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金富弼, 金富儀, 金富信, 金富倫, 琴應夾, 琴應壎 등 「七君子」가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 모두가 이황(李滉)의 문하(門下)에 종유했으며 효정신이 확고하고 덕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구(鄭逑)가 일찌기 말하기를 오천 한동네에 군자아닌 사람이 없다.고 했는데 뒷사람들이 군자리 라고 불렀다.

    예안의 입향조(入鄕祖)인 金孝盧 (1454-1534)는 가학(家學)을 통하여 후손들에게 이어진 가족문화양상은 『宣城邑誌』 「風俗」에 잘 나와 있는데 “효제(孝悌)”가 주축이 되었다. 재언컨대 퇴계학을 계승한 예안의 오천리에 거주한 이른바 “七君子”가 중심이 되어 孝悌를 중핵으로 형성한 가족문화가 퇴계의 道學을 옹골차게 영글게 하였다
    요컨대 退溪道學의 이론에다가 禮安光金의 실행적 가족문화가 묘합(妙合)되어 우리 민족의 상징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선비문화가 창조적으로 형성되었는데 그 요체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적인 선비문화의 기틀을 세웠다.
    2) 명문(名門) 광산김씨의 정신이 발양되었다.
    3) 퇴계학의 계승과 光金의 가족문화의 융합으로 새롭고 창조적인 선비문화가 형성되었다.
    4) 國難에 임하여 孝가 忠으로 확충되어 義理精神이 발휘되었다.
    5) 선비정신과 절의정신이 시대의 소명에 따라 발동되었다
    6) 가문(家門)의 가족문화가 가장 한국적인 선비문화로 승화되는 새로운 문화창조능력이 나왔다.

    오늘날 천박한 서양문화의 선호로 인하여 가장 한국적인 가족문화가 해체위기에 놓여있다 이는 곧 인간의 위기를 초래하고 총체적인 국정의 위기로 파급될 위험수위에 있는데 국가의 초석이 되는 가족문화의 재정립을 위하여 효사상과 효문화의 현대적 수용이 시급하다고 판단되어 이에 적의한 국가정책이 요망된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Ethics in Neo-Confucianism led by Toegye(1501-1570) developed and established its reputation around Mountain Cheongryang area since U Tak settled down in Jisamchon, south of Ye’an, after retiring from the government at the end of Goryeo. Achieving this reputation, Ye’angwang Kim In’s efforts in Ocheonri was crucial.
    The beginning of this development started when Hwang Jae from Pyeonghae had Kim Hyo-ji from Pungsan, Andong as a son-in-law during Goryeo dynasty. As a result, this area became the settlement of Gwangsan Kim family and Kim Hyo-ji selected Kim Hyo-ro as a successor and inherited the foundation. He finally became so-called the progenitor of Ye’an faction.
    Among Kim Sa-won and Kim Jin of Gwangsan Kim Yanggan-gong faction became the bureaucrats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became a powerful gentry family in the capital area. Furthermore, Kim Sa-won married with a daughter of An Hyang(1243-1306) who introduced Neo-Confucianism to Korea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yeol and married with a daughter of Gweon yun-myeong who was a son-in-law of Kim Bang-gyeong. Through this marriages, marriage links of Sunheung An family, Andong Kim family, and Andong Gweon family, Ye’an Kim family established strong attachment with Yeongnam area. The fifth son of Kim Jin, Kim Cheon-ri ‘s son Kim Mu married with a daughter of Kim Seo-rin of Andong Kim family and settled in Pungsan, Andong leaving Goyang area.
    It is not clear how and why the family of Kim Cheon-ri(17th generation of Gwangsan Kim family), a powerful family in the capital moved to Andong, there is possibility that his family collaborated with the scholars such as Gil Jae who inherited the spirit of Jeong Mong-ju who opposed the creation of the new dynasty, Joseon. According to Seonseongeupji of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family settlement of Gwnagsan Kim Ye’an branch Ocheonri was introduced as a ‘Town of Men of Virtue’ and continues;
    ‘Seven Men of Virtue’―Kim Bu-pil, Kim Bu-eui, Kim Bu-sin, Kim Bu-yun, Geum Eung-hyeop, Geum Eung-hun, etc.-- live in this town. All of them were studied under Yi Hwang and famous for the strong spirit of filial piety and virtue. As early as Jeong Gu mentioned, people later called this town Gunjari(Town of Men of Virtue) because everybody in Ocheonri were men of virtue.
    The progenitor of Ye’an Kim Hyo-ro’s (1454-1534) pattern of family culture through family education is well explained in the section of Pungsok(Custom) in Seonseongeupji. The core of his pattern of family culture is filial piety and fidelity. In fact, the successors of the study of Toegye in Ocheonri, Ye’an area’s ‘Seven Men of Virtue’ became center for the creation of family culture by emphasizing filial piety and fidelity enhanced the Toegye’s Study of Virtue. In other words, the theory of Toegye’s Study of Virtue and a pragmatic application of family culture of ye’angwang Kim reconciled and created the most desirable Sonbi culture as a symbol of Korean tradition. The key ideas are;
    It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the unique Korean Sonbi culture.
    It reflected spirit of distinguished Gwangsan Kim family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the study of Toegye and the family culture of Gwangsan Kim introduced creative Sonbi culture.
    The spirit of filial piety transformed into patriotism as the time of national emergency to fulfilled the spirit of fidelity.
    Time to time, Sonbi spirit and fidelity were put in action according to the necessity
    It was a ability of Korean culture in creativity
    Today, Korean traditional family culture is threatened by the superficial Western culture. It may cause the crisis in humanism and lead to the total chaos of the nation. It is urgent to reestablish the family culture what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through the contemporary adaptation of the ideology and culture based on filial piety. In conclusion, it is urgent to adopt a national policy to revitalize this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