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匈奴 金冠 연구: 內蒙古 西溝畔M4號墓의 금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Xiongnu Gold Crown: Focusing on the Gold Crown of Tomb M4 at Xigoupan, Inner Mongoli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匈奴 金冠 연구: 內蒙古 西溝畔M4號墓의 금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5권 / 111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송란

    초록

    이 글에서는 중국 내몽고의 흉노 수장묘에서 출토된 서구반 M4 호묘의 금관을 살펴 보았다. 그간 1970년대와 1980년에 흉노묘 발굴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金帶鉤, 金冠 등 의 흉노 금제품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 금제품 중에서도 흉노 수장의 금관은 이 글의 주제로 다룬 서구반 M4호묘를 비롯하여 내몽고 아노시등묘, 섬서성 신모묘, 몽골의 쿠리마랄 쏨 유적 출토의 금관 모두 4점에 불과하다.
    이들금관중가장먼저주목은받은것은1972년內蒙古伊盟杭錦旗阿門其日格阿 魯柴登에서 출토된 금관이다. 말과 뿔 달린 양, 그리고 독수리 등으로 구성된 이 금관 은 전형적인 북방유목민의 동물양식으로서 흉노 수장의 금관이 조명된 것이다. 그간 동물양식의 금관은 사카(Saka)의 이식쿠르간(Issyk Kurgan)의 것이 대표적으로 알려 진 상황에서 흉노 금관의 실체가 처음 알려진 것이다.
    1979년과 1980년에는 역시 흉노 무덤인 內蒙古 準格爾旗 西溝畔墓가 발견되어 조 사되었다. 서구반 M4호묘의 금관식은 아로시등묘 금관과 같이 동물양식도 보이지만, 중국의관의요소인山形玉裝飾과사카(saka) 계통의三葉文金裝飾이더해진점에서 복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피장자의 머리 부근에서 瑪瑙구슬 등으로 연결된 긴수식도출토되어전체관의모습을규명할수없었다. 서구반M4호묘의금관식은 그간 흉노 수장관이라고 인식되었던 아로시등의 것과는 또 다른 모습이어서 흉노관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서구반 M4호묘 금관의 전체 모습을 복원하여 흉노 금관 의 계보를 찾아보고, 제작연대와 제작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 파악한 바에 따르면 내몽고 아로시등묘와 신목묘의 금관은 기원전 4세기에 서기원전3세기로초기의단계이고서구반4호묘는흉노가멸망한다음남흉노로중국 세력에 편입된 시기의 마지막 단계에 제작된 것이다. 펠트 등의 딱딱한 유기질의 모자에 아래3줄의帶冠성격의금판과위의입식성격의금관식3단이부착된형태로복원해보 았다. 그리고 수하식은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았다. 즉 관자놀이 부분에 쌍으로 동물 양식이 표현된 상하 수하식이 좌우로 내려뜨려지고 다시 그 수하식 뒷면에 얼굴을 감싸 는 瑪瑙 구슬줄이 이어진 것으로 복원하였다. 이와 같이 흉노는 사카, 사르마티아, 알타 이의 동물양식의 관모에 영향을 받아 자신들만의 독특한 관모 문화를 형성하였다.
    서구반 4호묘의 금관의 제작지와 관련하여서는 <오각 산형 금관식>의 형태와 금판 을 제작하는 압출성형기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오각 산형 금관식>을 侍中이나 中常侍 品階의 관리가 착용하는 漢의 金瑭 계열로 파악하여 제작지를 중국 공방일 가 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압출성형기법이 이미 기원전 4세기에 중국 공방에 수용된 것으로 통해 초원의 金工匠人들의 중국에서의 활동을 규명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gold crown of Tomb M4 at Xigoupan (西溝畔) among gold crowns excavated from Xiongnu leaders’ tombs in the region of Inner Mongolia. The excavation of Xiongnu tombs were lively carried out meantime in the 1970s and the 1980s, and the existence of Xiongnu golden items such as gold belt hooks and gold crowns became known. Among the golden items, there are only four Xiongnu leaders’ gold crowns in total, which were excavated from a tomb at Aluchaideng (阿魯柴登) in Inner Mongolia, a tomb at Shenmu in Shaanxi Province, and an ancient ruins site at Khureemaral soum in Mongolia besides the Tomb M4 at Xigoupa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gold crown ornaments of Tomb M4 at Xigoupan show different forms from other leader’s crowns such as that of Aluchaideng,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rue nature of the Xiongnu crown. Hence, this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genealogy of the Xiongnu crowns by restoring the whole shape of the gold crown at Tomb M4 in Xigoupan, and to investigate the year and place of its creation.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gold crowns at the Aluchideng tomb in Inner Mongolia and at Shenmu were made at the early stage from the 4thcentury BC to the 3rdcentury BC, and that the gold crown at Tomb M4 in Xigoupan was made at the last stage when the Xiongnu fell and was incorporated into China as southern Xiongnu. The crown restored by this research showed a cap made of hard organic material including felt, three gold plates below with the nature of a band crown, and three layers of gold crown erect ornaments above. And the pendant ornaments were considered to have a dual structure. That is, the restoration showed that right and left pendants of animal-style patterns hang down from around the temples, and an agate bead string is connected around the face behind the pendants. On this wise, the Xiongnu created their own unique culture of official hats, being influenced by the official hats of animal-shape styles in Saka, the Sarmathians, and Altai.
    In connection with the place of creating the gold crown of Tomb M4 at Xigoupan,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 of the pentagonal mountain-shaped gold crown ornament and the extrusion molding technique for fabricating the gold plates. Identifying the pentagonal mountain-shaped gold crown ornament as belonging to the Han’s (漢) jintang (金瑭) family worn by the official ranks of shizhong (侍中, “Palace Attendant”) or zhong changshi (中常侍, “Central Regular Attendant”), this study suggests the fabrication place should possibly have been a Chinese workshop.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pasture goldsmiths in China, considering that the extrusion molding technique had already been adopted by Chinese workshops in the 4th century B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