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국난극복을 위한 神像: 서울 관왕묘의 <관우도> (Painting of Guan Yu of the Kwanwang Tomb in Seou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조선시대 국난극복을 위한 神像: 서울 관왕묘의 &lt;관우도&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7호 / 185 ~ 218페이지
    · 저자명 : 강영주

    초록

    이 글은 서울 관왕묘에 봉안된 <관우도>가 중국의 전통적인 관우 도상의 수용과 변화를 거쳐 조선식으로 토착화되는 과정을 알아보는 글이다. 조선 시대 국가 주도로 건립된 서울의 관왕묘는 총 4곳으로 건립된 시기는 다르지만 건립과 관우도 제작 목적은 역사적으로 국가가 위기에 처한 위중한 사태에 국난의 극복을 위한 매개체로 활용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조선 전반기 선조대에 중국의 요청에 의해 건립된 남묘, 동묘의 <관우도>는 당대 문헌 기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유입된 관우도나 삽화가 포함된 『삼국지』류의 소설 등의 도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관우 도상은 숙종의 어제시 표현대로 큰 키, 대춧빛 붉은 얼굴에 봉황의 눈, 누워있는 누에 같은 눈썹, 삼각으로 길게 뻗은 수염을 하고 청건에 녹색 전포를 입고 지물로는 『춘추』와 청룡언월도를 갖추고 적토마를 곁에 두고 있다. 즉 이 시기 <관우도>의 유형은 유존작과 문헌기록을 통해 보면 3가지로 요약된다. 앞에서 언급한 도상형식을 갖춘 ‘전신 단독상’과 삼국지 주요 이야기가 도상화된 ‘고사인물도상’ 및 윤두서의 작품으로 전하는 ‘반신 성현초상류’로 나눌 수 있다. 또한 ‘甲冑 장군상’ 등의 유형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
    근대기 남묘, 동묘 및 고종대에 건립된 북묘와 서묘의 <관우도>는 도상과 성격이 유사하다. 필자는 북묘, 서묘 조각상과 아울러 근대기 사진으로 전하는 관우도상을 적극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는 북묘와 서묘의 관우도가 이전 시기 3가지 유형을 유지하면서도 좀 더 분화된 유형과 양식을 갖추고 있음을 알았다. 그 이유는 당시 유행한 관성교와 같은 관우를 신앙하는 천수사나 충진사 등의 종교단체나 조직의 경전이나 판화와 같은 인쇄물에 묘사된 관우 도상을 따랐기 때문이다. 이 시기 관우도상의 특징은 유비, 장비를 같이 그리거나 소나무, 춘추가 올려진 바위 등의 배경에 관평과 주창 등의 협시가 같이 등장하는 ‘삼존상’, 관우와 주창을 그린 ‘이존상’ 및 ‘전신 단독상’, ‘반신상’ 등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조선 전반기 관우도가 장군의 모습을 한 무장이나 충신상이 주류였다면 근대기의 관우상은 巫神圖의 성격과 양식으로 제작된 황제나 왕의 복식을 한 군왕상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예배상인 조각상 뒤에 영정을 걸어 전당을 장엄하였다. 당시 관우상의 복식은 청대의 것을 모방하기보다 조선의 복식과 지물 및 장식, 문양을 융합해 조선화된 관우도를 제작하였다. 특히 익선관, 금관, 빗관, 면류관에 황색, 홍색 곤룡포나 면복 등 고종과 순종의 복식을 형상화한 도상이 주목된다. 근대기 관우도상의 이러한 특징은 고종이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로 등극한 후 1901년 관왕묘를 관제묘로 격상시키고 악장을 새로 제정하여 관우 신앙을 위태로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았던 시기와 일치한다. 특히 왕실 주도로 창건된 관왕묘에 무당을 祭主로 두면서 관우가 武神, 장군신, 재물신 등 기복 신앙의 예배 대상으로 민간층으로 급속도로 확산되는데 서울 관왕묘의 <관우도>는 그러한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Guan Yu's faith and Painting of Guan Yu of the Kwanwang Tomb in Seoul .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olitical character of Guan Yu's faith, which was used as a medium for overcoming national difficulties by the ruling class in the Joseon.
    Historically, Guan Yu died in spite of numerous meritorious deeds and achievements, which became popular as Guan Yu's folklore and religious belief since his death. Since then, after the popularity of the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ts prestige has expanded, becoming one of the most popular objects of worship in shamanism as an all-around god who is versatile and achieves all wishes. In this regard, Guan Yu looked into the causes and processes worshipped in China as the god of loyalty, the god of war, the god of wealth, and the god of protecting the country. And it was politically utiliz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t the request of China.
    In Joseon era, 'Icon of Guan Yu' was designed to decorate or honor Guan Yu Shrine, with illustrations and scrolls drawn for the enjoyment and understanding of novels due to the influx and trend of the Three Kingdoms.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rtrait of Guan Yu" of Gwanwang Tomb in Seoul, which is used for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royal family, into a Joseon style. Through this articl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f Guan Yu which were produced in the Joseon era, were identified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egrating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the folk shamanism and becoming indigenous to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