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Tomb-Shapes and Burial Mound Design Principle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Silla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09호 / 184 ~ 215페이지
    · 저자명 : 심현철

    초록

    지금까지 적석목곽묘의 연구 가운데 봉분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수준이었다. 이것은 매장주체부와 출토유물 중심의 조사ㆍ연구가 그 원인이었다. 한편, 봉분 또한 해당 묘제를 이해하고 무덤을 축조한 집단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최근 분포조사와 소규모 발굴 등을 통해 봉분의 규모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적석목곽묘 자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측량기술의 발달로 인해 도면 또한 더욱 정밀해졌다. 이 글은 이러한 최근의 상황에 맞춰 적석목곽묘의 봉분을 전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적석목곽묘의 봉분은 타원형을 기본형태로 하며, 타원의 개념과 작도방법을 정확히 이해한 상태에서 엄격한 설계원리에 따라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의 전 시기에 걸쳐 타원형봉분을 만들었으며, 봉분의 규모에 따라서는 일부 초점의 위치를 바꾸는 등 설계원리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또한 묘역의 범위와 공간적 한계 등을 고려하여 최초의 설계를 변경하여 봉분형태를 약간 변형하기도 하였다. 봉분설계 과정에서는 장축의 길이만 설정하였으며, 단축의 길이는 초점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레 결정되게 하였다. 따라서 적석목곽묘 봉분의 비율은 시간적인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나타났다. 이는 봉분의 규모나 묘곽의 형태 변화와도 크게 무관하며, 일정한 원리에 따라 봉분이 설계된 결과였다. 봉분의 규모, 묘곽의 형태와 상관없이 적석목곽묘를 축조한 전 시기 동안 모든고분이 동일한 설계원리에 의해 축조된 것이다. 이렇듯 완벽한 설계에 의해 완성된 타원형봉분은 적석목곽묘를 이해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된다.

    영어초록

    In studie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e examination of the burial mound has remained at a basic and priliminary stage. However, data concerning burial mound size and shape have 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surveys on tomb distributions and small-scaled excavat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urveying technologies has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re precise drawings. This study attempts an overall review of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according to recent trends and situations.
    Based on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basically oval-shaped and built according to strict principles of design that were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n oval, as well as how to draw it. Oval-shaped mounds were buil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at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in use but the principles of design were differently applied – for example, the focal point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und. In addition, the original design could be modified and the shape of the mound changed slightly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burial site or spatial limitations. In designing the burial mound, the length of the long axis was established first, and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was natur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ocal point. Therefore, the ratio of the burial mound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chambers appears to have been consistent regardless of tempor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