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s of the Jar Coffin Tomb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Qin and Han periods of Chin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02
32P 미리보기
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07권 / 107호 / 39 ~ 70페이지
    · 저자명 : 진영민, 조윤재

    초록

    중국의 甕棺墓는 신석기시대부터 등장하였고, 이후 戰國·秦漢時代에 이르러 양적으로 증가하며유행하였다. 이 시대 옹관묘는 北京, 河北을 중심으로 분포하다가 陝西, 河南, 天津, 山東, 遼寧, 內蒙 古까지 확산되었으며, 關中 이남의 長江中流 일부 지역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옹관묘는 조합방식에 따라 單甕式, 합구식(二甕式), 多甕式으로 구분된다. 옹관으로 사용되었던 토기들은 대다수가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것과 동일한 일상 생활토기이다. 일반적으로 옹관은 장방형 수혈의 묘광 안에 橫置로 안치하지만, 長江流域의 峽江地域에서는 直置의 단옹식 옹관묘가 주로 사용되어서 중원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옹관묘에서는 喪葬儀禮의 고고학적 흔적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극히 일부의 사례이지만, 棺槨制度와 合葬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도 존재한다. 옹관묘에서 발견된 인골들의 분석을 통해 보면, 피장자는 절대다수가 아동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사망한 아동의 葬具로 옹관이 사용된 이유는 문헌에 기록된 ‘無服之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 국시대의 횡치·합구식 옹관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점차 동쪽으로 확산되었고, 한반도와 일본 북부 九州지역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후 각 지역의 재지문화와 교류· 접변의 과정을 거쳐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영어초록

    The Chinese jar burial emerged in the Neolithic Period, and coming in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Qin and Han periods, the practice became prevalent as it increased in quality. The contemporary jar burial, which centered in Beijing and Hebei, spread to Shanxi, Henan, Tianjin, Shandong, Liaoning, and Neimeng, and was also found in some parts midstream the Yangzi River. The jar coffin tombs are classified by their mode of combination into single jar, double jar, and multiple jar. The majority of the earthenware used for jar burial belonged to the residential earthenware of the same sort as was unearthed from the residential sites. The general practice was the lateral placement of a jar coffin in an oblong pit. However, Shanjiang lying midstream the Yangzi River registers a huge difference from Zhoungyuan, in that the former mostly adopted a vertically placed single-jar coffin. Jar burial sites do not show any archeological vestiges of mourning and burial rituals. In very few cases, however, some sites include the traces of a coffin system and burial of multiple bodies in a tomb. The analysis of the human bones found in jar coffin toms confirmed that an absolute majority of the buried bodies were those of children. The adoption of jar burial for the dead children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practice of ‘Mubokjisang (無服之殤; the funeral for children aged 7 or younger that required no morning costumes) as suggested by the contemporary records. The vertically placed or jars joined by the mouth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gradually spread to east until they spilled over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rn Kyushu in Japan. Thereafter, the practice underwent continuous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exchange and contact with the local practices in different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