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lmen Sites in the Hoseo Reg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07
30P 미리보기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26호 / 105 ~ 134페이지
    · 저자명 : 손준호

    초록

    본고에서는 먼저 호서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지석묘 자료를 집성하여 그 특징을살펴보았다. 지금까지 확인된 지석묘의 수는 약 700여 기이지만, 실제 발굴 조사가이루어져 보고된 것은 59개 유적 184기에 불과하다. 지석묘의 형식은 전체적으로개석식의 비율이 높은 가운데 탁자식과 기반식 또한 다수 확인된다. 축조 시기는 출토유물을 볼 때 대체로 송국리 문화 단계, 즉 후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 호서지역에는다른 지역에 비해 다수의 송국리형 묘제가 분포하는데, 이러한 관계 속에서 지석묘문화가 일정 수준 이상 번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밖에호서지역 지석묘의 특징으로 성토부나 묘역 시설 등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은 점, 지석묘축조 또는 보호와 관련된 시설로 추정되는 주공렬이 확인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현지답사를 통해 호서지역 지석묘의 보존 현황 및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문화재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지석묘는 13개 지점 57기, 문화재로 지정되지는않았지만 발굴 조사 이후 보존된 지석묘는 20개 지점 49기이다. 현지답사 결과대체로 보존된 지석묘의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는 지석묘의재질이 암석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이며, 실제로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상태로 방치된 사례가 적지 않다. 특히 지석묘의 문화재적 가치를 일반인들에게 널리알리기 위한 교육적·활용적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호서지역 지석묘의 분포및 특징에 적합한 보존 및 활용 방안으로는 각지에서 조사된 다양한 형식의 지석묘를한 곳으로 모아 전시하는 테마파크의 조성이 필요하다. 여기에 각종 편의 시설은 물론유물 전시관과 교육 공간, 학술 자료실 등을 마련하여 정기적인 체험 행사 및 교육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일반인의 지속적인 관심과 방문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지석묘 연구센터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s a corpus of excavated dolmens in the Hoseo region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While more than seven hundred dolmens are confirmed, only one hundred eighty four dolmens from fifty nine sites are reported. As for the type of dolmens, the cover stone style(Kaesoek-sik) dominates a significant part, also large numbers of the table style(Takja-sik) and Go-board style(Kiban-sik) are confirmed. Excavated artefacts show that these dolmens were built mainly in the stage of the Songgukri culture, or the Late Bronze Age. In this period, much more Songguk-ri style tombs are distributed in the Hoseo region, which seemingly prevented flourish of dolmens in this area. In addition, mounds or sign stones for cemetery area were not preferred, while pillar pit lines are confirmed, probably for the protection of the area of dolmens.


    Second, site reconnaissance was conducted for the sake of research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lmen sites. The dolmens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ies count fifty seven dolmens in thirteen cases, conserved ones without registration count forty nine in twenty cases, most of which are preserved in good condition. However, it is only due to their material, stone, which kept them from significant degradation as in many cases they seem not to be well managed. Especially there are few effort for raising awareness of importance of dolmens as cultural properties to the citizens through educational use of these dolmens. Considering the variety of dolmen styles in the Hoseo area, it can be proposed that the archaeological park where they show this variety of dolmens in one place should be built. Not only basic facilities but also a spac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cademic archiv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hold regular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raise awareness of citizens, as well as to play a role as a research centre of dolm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