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평윤씨 묘 출토 바늘집노리개 연구 (A study of Papyeong Yoon Clan's Needle Case Norig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5.03
17P 미리보기
파평윤씨 묘 출토 바늘집노리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8권 / 1호 / 91 ~ 107페이지
    · 저자명 : 이민정, 심연옥

    초록

    본 연구는 파평윤씨(?~1566) 모자 미라 묘 출토 바늘집노리개의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현재 바늘집노리개 유물은 고려 시대부터 근대까지 확인되나 조선 후기 이후의 유물은 제작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파평윤씨 바늘집노리개는 비교적 시대가 뚜렷하고, 한 묘에서 여러 점의 바늘집이 함께 출토되어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구성은 고리·주체·드림으로 동일하며, 직물로 제작되었다. 사용된 직물의 조직으로는 크게 평조직, 수자조직, 익조직, 중조직이 있다. 주체의 재료에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나며 각각 변형 위중조직(Lampas), 4경 꼬임 라조직, 5매 수자조직이 사용되었다. 주된 장식기법으로는 자수이다. 사뜨기수는 주체의 외곽을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밖에 하나의 바늘집에는 고리감개수와 징금수가 사용하였다. 파평윤씨 묘 출토 바늘집노리개는 조선 전기의 유물로서 정형화된 구성을 보여주며, 한 편으로는 직물의 조직과 장식기법에 있어 개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향후 더 많은 유물의 발견을 통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needle cases norigae excavated from the tomb of a mother and child of the Papyeong Yoon clan (?-1566). Although needle case norigae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from the Goryeo Dynasty to modern times, thos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ater often lack precise production dates. The Papyeong Yoon clan's needle case norigae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originate from a relatively well-defined period, and multiple pieces were excavated together from a single tomb, enabling comparative analysis. Their composition is consistent, comprising a ring, central part, and tassel, all crafted from textiles. The fabrics used predominantly include plain weave, twill weave, satin weave, and compound weave. The most significant variation occurs in the material of the central part, with examples employing Lampas, which is a variant compound weave, a 4-warp twisted gauze weave, and a 5-harness satin weave. The primary decorative technique is embroidery. Satin stitch was used to finish the edges of the central part, and in one instance, a need-looping stitch and jinggeum stitch were also employed. The needle cases excavated from the Papyeong Yoon clan's tomb are early Joseon Dynasty artifacts demonstrating a standardized composition while simultaneously showcasing individual expression through fabric weaves and decorative techniques.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y be actively pursued by discovering and analyzing additional artifac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