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삼국시대 목관묘의 축조와 매장방식 접근 (An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and Burial Style of Wooden Coffin Tombs During the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7
31P 미리보기
원삼국시대 목관묘의 축조와 매장방식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41호 / 111 ~ 141페이지
    · 저자명 : 이원태

    초록

    이 글은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에 대해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즉 목관묘의 구조와 조사방법을 정리하고 그것의 축조와 매장방식 그리고 유교적 상장례를 통한 산 자의 매장관점에 접근하여 유추하였다.
    첫째, 목관묘 구조는 묘광(요갱), 목관, 충전토, 실토(實土), 봉토(목개)로 구성되는데, 이를 기초해서 조사를 진행한다. 즉 목관묘 조사는 유구확인→ 탐색Trench설정→ 토층조사→ 내부조사 후 완료 순으로 진행되는데, 단계별 사진촬영, 기록, 실측 등이 추가된다.
    둘째, 목관묘 축조는 묘광(요갱) 굴착→ 목관 하관 및 유물부장→ 충전토 내부 및 상부 유물부장→ 목관 상부 유물부장→ 실토 및 목개 설치→ 봉토 축조 및 유물부장 순이다.
    부장품을 통한 매장방식은 요갱을 파서 묘광을 완성한 다음의 의례→ 목관의 안치 후 의례→ 보강토(충전토)설치과정의 의례→ 목관을 보강토(충전토)로 완전히 봉한 후의 의례→ 매토(실토) 과정의 의례→ 매토(실토) 완료 후 봉분 축조 이전의 의례 순이다.
    경산 신대리 목관묘와 경주 사라리 목관묘로 볼 때 매장방식은 일률적이지 않고 위계가 높을수록 그것은 복잡화된다. 또 경산 신대리 목관묘 유물 부장위치 및 유물 수량으로 볼 때 토기류와 금속류는 충전토와 관련해서 압도적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목관묘 매장당시 목관 하관 후 충전토를 채우면서 가장 많은 매장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은 크다.
    셋째, 산 자의 매장관점을 상장례에 초점을 두고 민족지 사례와 결부시켜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를 살펴보았다. 즉 상복례 및 조상과 문상→ 묘택과 후토제→ 천광→ 발인→ 장지 도착과 안장(패철로 좌향보기, 회다지)→ 평토제 및 반곡 순이다. 물론 민족지사례와 그것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는 없지만 큰 틀에서 보면 무덤의 구조적인 측면으로 볼 때 상장례에 있어 유사한 부분도 많았을 것이라 판단된다. 왜냐하면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축조된 목관묘와 관련된 유교적 상장제도의 장송의례 줄거리와는 크게 다르지 않아 장례문화에 있어 ‘학습성’과 ‘축적성’ 그리고 ‘공유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결국 상장례는 망자에 대한 효 관념과 두려움 그리고 공포감이 복합되어 나타났다는 점이다.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관묘 역시 그것과 연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즉 목관묘를 조성하면서 진행되는 매장행위 즉 부장품 매납 등은 망자에 대한 효 관념과 대비된다. 또 부장품에서 확인되는 훼기현상 등은 두려움과 공포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매장행위의 표출로 받아들여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summarizes the structure of wooden coffin tombs and the investigation methods in the perspective of living persons about burial based on the construction and burial styles and Confusion funeral customs.
    First, the structure of wooden coffin tombs consisted of the grave hollow (central pit), wooden coffin, filling earth, fertile soil (實土), and earthen mound (wooden cover), which were the basic elements of investigation. The wooden coffin tomb investigation included the remains analysis → trench setting for exploration → soil analysis → internal element analysis in order. Photographing, documentation, and actual measurement were added in each step.
    Second, the wooden coffin tomb construction was conducted in order of grave hollow (central pit) excavation → wooden coffin bottom and relics burial → relics burial inside and on top of filling earth → relics burial on top of the wooden coffin → installation of the fertile soil and wooden cover → earthen mound construction and relics burial.
    The relics burial style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the ritual following the central pit and grave hollow completion → the ritual following the enshrinement of a wooden coffin→the ritual for the reinforced soil (filling earth) installation process → the ritual following the complete covering of the wooden coffin with reinforced soil (filling earth) → the ritual for top soil (fertile soil) installation → the ritual after top soil (fertile soil) installation and before mound construction.
    In the case of wooden coffin tombs in Sindae-ri, Gyeongsan, and Sara-ri, Gyeongju, the burial style was inconsistent and became complicated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rank. In view of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relics buried over wooden coffin tombs in Sindae-ri, Gyeongsan, the earthen vessels and metallic materials were concentrated around the filling earth.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at the time of wooden coffin tomb burial, the act of burial was practiced mostly during the filling earth application after wooden coffin was laid.
    Third, with funeral customs viewed mainly in the perspective of living persons about burial,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were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ethnographic cases. The steps were in order of funeral rituals and condolence → tome house selection and rites for gods of land→grave hollow making → departure of the funeral procession → arrival at the burial ground and burial (determining the exact direction, hwedaji) → burial without erecting a mound and post-burial wailing. Although matching exactly with ethnographic cases would not be practical,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similar aspects in terms of funeral customs specifically regarding the structural elements of tombs. Since the characteristics we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Confucian funeral rituals and funeral attendance for wooden coffin tombs constructed in Korea,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culture such as ‘learnability’, and ‘accumulatise’, and ‘shareability’ need to be considered.
    After all, funeral customs were developed in the complex interaction of the perception of filial piety towards the dead, fear, and scare. Wooden coffin tomb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period of the Original Three Kingdoms are not exceptions in this regard. The relics burial ac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wooden coffin tombs are in contrast with the concept of filial piety towards the dead person. The destruction traces found in grave goods seem to reflect the act of burial to get rid of fear and s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