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葬送儀禮) (The Burial Ritual of Dolmen in Gyeonggi do Reg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葬送儀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30권 / 363 ~ 398페이지
    · 저자명 : 윤호필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축조과정과 그에 따른 단계별 의례양상을 통해 지석묘의 장송의례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장송의례는 보편적인 사회규범에 속하지만 그 속에는 사자 및 생자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덤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가 반영되는데, 집단의 사생관(死生觀)과 조령관(祖靈觀)으로 나타나며 장기간 지속되면서 강한 전통성을 가지게 된다. 지석묘의 장송의례는 축조의 각 과정마다 의례가 행해지며,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연대 및 통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지석묘의 축조는 생자의 입장에서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기 위한 준비단계(묘지선정 석재운반), 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고 무덤의 외형적인 틀을 만드는 단계(매장주체부 및 묘역설치), 단계는 완성된 무덤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장송의례는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축조방식이 다른 개석식 지석묘와 탁자식 지석묘는 피장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공간관계의 측면에서 보면 수평적 공간관계와 수직적 공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평적 공간관계는 묘역의 범위를 넓게 하여 무덤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고, 수직적 공간관계는 무덤의 외형을 지상에 돌출시켜 무덤을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는 가족적 씨족적 친분관계가 강하고, 후자는 독립적 제단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형식과 장송의례 양상이 다른 두 무덤이 경기도지역에서는 같은 묘구 내에서 함께 조성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인 지석묘에 나타난 장송의례는 당시의 사회구조, 문화, 기술, 세계관, 내세관 등을 반영하므로 청동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stores the burial ritual of dolmen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dolmen in the Bronze Age in Korea and the features of rituals followed in each stage. Based on it, it looks into the burial ritual of dolmen in Gyeonggi do region. The burial ritual belongs to general social norm. On the other hand, social class of the living beings and dead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re. Therefore, the graves reflect such social relationship, and it gains strong tradition as it reveals as a view on life and death and a view on ancestor’s spirit of social group for long term. Rituals are performed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of dolmen, and through this, it plays a role reinforcing social union of members. Construction process of dolmen is divided into three big stages from the view point of a living person. The first stage is preparation stage for burial of dead body(Choosing tomb area and moving stones). The second stage is burial of dead body and building frame of tomb(Building main part of burial area and boundaries of grave). The third stage is maintaining the finished dolmen. Burial ritual appears in various ways in each stage. The cover stone dolmen and table type dolmen with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show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eader. From the view of spatial relationship, it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s.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bring into relief the existence of grave by extending grave area whil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makes the grav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by projecting appearance of grave onto ground. Therefore,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relationship of family and relatives while th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and altar. Likewise, two different graves with different features of burial rituals and formats are built in the same boundary of grave in Gyeonggi do region. Therefore, the burial rituals revealed in dolmen which represents the Bronze Age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culture, technology, world view and the view of afterlife, therefore,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