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 동남부지역 지석묘사회 변천과정 (Dolmen Social Transition in southeastern area of Jeonn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10
31P 미리보기
전남 동남부지역 지석묘사회 변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동기학보 / 17호 / 98 ~ 128페이지
    · 저자명 : 최성훈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 동남부지역에 분포해 있는 지석묘 연구를 통해 청동기시대 대표 묘제인 지석묘사회의 변천과정을 파악해 보고자 함이다. 공간상으로는 여수반도와 여수와 접해있는 순천 연안지역, 광양지역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진행은 지석묘의 군집·입지를 분석을 통해 규모와 분포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려 하였다. 출토유물의 경우 유물간의 공반관계, 부장위치를 통해 부장의미를 파악하려 하였다. 더불어 절대연대를 기준으로 한 지석묘의 변천과 연대를 파악하려 하였다.
    그 결과 전남 동남부지역의 지석묘 사회는 다음과 같이 변천된다고 말할 수 있다. Ⅰ기는 지석묘가 처음 축조되는 시기로 지석묘 문화 형성기에 해당된다. 지석묘는 단장형의 묘역시설을 하고 있으며, 군집내중심적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출토유물로는 동검과 마제석검류, 옥류 등 위신제가 많으며, 이 점으로 보아 인근주변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집단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고말할 수 있다.
    Ⅱ기는 지석묘가 활발하게 축조되는 시기로 지석묘 문화 성행기에 해당된다. 군집의 경우가 다양해지며, 묘역시설을 갖춘 지석묘가 다수를 점한다. 묘역시설은 장방형과 원형이 주로 축조되며, 형태는 Ⅰ기에비해 정교하지 못하다. 출토유물은 마제석검과 석촉류가 많아진다. 지석묘 주변으로 송국리식 주거지가다수 확인되며, 이는 임시 주거지로 판단된다.
    Ⅲ기에서 지석묘 문화 쇠퇴기이다. 묘역시설은 그 전까지 나타나지 않은 집장형 지석묘군이 존재한다.
    출토유물은 마제석검으로 심부와 병두부의 차이는 크며, 심부와 병부의 차이가 모호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마제석촉의 경우 무경식편평촉이 확인되는데, 전남 동남부지역에서 지석묘가 주된 묘제로서 오랜 기간 사용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olmen society with the dolmen being the representative type of tomb during the Bronze Age by looking into the dolmens scattered around the southeastern areas of Jeonnam Province. The areas covered in the study were the Yeosu Peninsula, the coast of Suncheon adjacent to Yeosu, and Gwangyang.
    The clusters and locations of dolmens were analyzed to grant significance to their size and distribution. The artifacts excavated in the dolmens were examined in their association relations and burial positions to understand their burial significance. Furthermore, the changes and eras of dolmen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absolute age.
    The findings show the dolmen society in the southeastern areas of Jeonnam went through the following changes: Period I when the first dolmens were built fell in the formation period of dolmen culture. Dolmens were equipped with single-burial tomb facilities, holding a central position in the cluster. Many of artifacts excavated in the dolmens were Wishinjes including bronze daggers, polished stone daggers, and jades, which indicates that the builders of dolmens must have played pivotal roles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exercised their influences in a continuous manner.
    Period II witnessed the active construction of dolmens, falling in the prevalence period of dolmen culture. As the clusters became diverse, the dolmens equipped with tomb facilities took a dominant position in the number. The major tomb facilities were rectangular or circular with the forms lagging behind their counterparts from Period I in terms of sophistication. There were many more polished stone daggers and polished stone arrowheads among the artifacts excavated in the dolmens. A good number of Songgukri-style dwelling sites were found around the dolmens as temporary ones.
    Period III saw the fall of dolmen culture. The new Jipjang-style dolmens began to emerge among the tomb facilities. Excavated in the dolmens, the polished stone daggers mostly had big differences between the Shimbu and Byeongdubu and ambiguous differences between the Shimbu and Byeongbu. There were flattened arrowheads with no tang among the polished stone arrowheads, which suggests that the dolmen was used as a major type of tomb in the southeastern areas of Jeonnam for many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청동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