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積石木槨墓 出現期의 樣相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e Period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05
25P 미리보기
積石木槨墓 出現期의 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24권 / 124호 / 275 ~ 299페이지
    · 저자명 : 심현철

    초록

    적석목곽묘는 신라를 대표하는 묘제로 고대한 봉분을 자랑하고 있어 고총이라 부를 만하다. 이에 적석목곽묘의 출현은 곧 고총의 출현을 의미하는바 출현 시점은 물론이고, 출현 과정과 출현기의 양상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다만, 이러한 의미와는 반대로 현재까지의 조사현황을 보면, 출현기에 해당하는 적석목곽묘 자료 자체가 상대적으로 적고, 확인조차 잘되지 않아 의문이다. 이에 더해 현재 가장 빠른 적석목곽묘로 평가되는 황남동 109호 3⋅4곽은 대표적인 출현기의 적석목곽묘인데, 뚜렷한 적석 양상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적석목곽묘와는 달리 묘곽이 상하로 중복되고 호석도 불분명하여 특이한 모습이다. 이처럼 많은 의문이 있음에도 자료 부족과 조사의 한계로 적석목곽묘 출현기의 양상에 대해서는 깊이 논의되지 못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적석목곽묘 출현기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에 적석목곽묘 출현 전후를 대표하는 유구인 황남동 109호, 월성로 가5호, 가13호, 쪽샘 L17호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무덤들에서는 당대 최고 위계에 가까운 무덤임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자 아무 관련 없는 후대묘에 의해 중복⋅파괴되는 현상이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현상은 황남대총 남분 단계 이후의 적석목곽묘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시간성을 가진다. 또한, 이 무덤들에서는 뚜렷한 호석이 설치되지 않았고, 봉분도 높지 않은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후대묘에 의한 중복⋅파괴 현상이 일어난 이유를 낮고 저평한 봉분에서 찾을 수 있으며, 기존 인식과 달리 적석목곽묘 출현 직후까지는 앞 시기 목곽묘의 저평한 봉분 형태가 그대로 남아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적석목곽묘는 출현 초기부터 고총의 형태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저평한 봉분을 유지하다가 석축형 호석과 함께 고대한 봉분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최근 쪽샘 일대와 황남동 120호 주변에서 호석이 없는 저평한 봉토분이 확인되는데, 적석목곽묘 출현기 전후의 봉분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 호석 없는 봉토분은 호석이 설치된 적석목곽묘 아래에 깔려 상하로 중복되어 있는데, 그동안 출현기의 적석목곽묘가 잘 확인되지 않았던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representing the Silla period, is characterized by its high and large burial mounds. Therefore,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signifies the construction of such high and large burial mounds. However, in the early stages, the typical feature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not clearly observed, leading to various uncertainties. Currently, the earliest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is observed in Coffins No. 3 and 4 in Tomb No. 109 in Hwangnam-dong. However, unlike typical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e wooden chambers in this tomb overlap vertically, and the placement of protective stones around the perimeter of the mound is also indistinct.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e period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starting from these uncertainties. Four tombs dating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despite being tombs close to the highest social hierarchy of their time, they were later overlapped or destroyed by unrelated tombs from subsequent periods. This phenomenon was commonly observed in these tombs but not i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at appeared afterward. Additionally, these tombs lacked protective stones and exhibited relatively low burial mounds. Therefore, the reason for overlap or destruction by later tombs can be attributed to the low and flat burial mounds. In conclusion, contrary to previous assumptions, it can be inferred that immediately after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e burial mounds were low and flat. Subsequently, they evolved to have higher burial mounds along with protective stones.
    Recently, instances have been confirmed where burial mounds without protective stones were overlapped vertically beneath tombs with protective stones,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e period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