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학(儒學)에서의 배움: 본받음의 길 - ‘희철학(希哲學)’과 ‘묘학제(廟學制)’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earning' in Confucianism -Emulating the great people of hist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유학(儒學)에서의 배움: 본받음의 길 - ‘희철학(希哲學)’과 ‘묘학제(廟學制)’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22호 / 145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우진

    초록

    이 글은 ‘유학에서 말하는 배움’의 본질이 ‘이상적 인간을 희구하는 태 도’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 가정을 논증하기 위해, 서두에서 공자 의 학(學)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니시 아마네(西周)가 ‘철학(哲學)’이라는 단어를 조어(造語)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유학에서 의 배움’이라는 의미가 사라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통시 대의 유학 교육기관의 건축적 특징인 묘학제(廟學制)를 통해 유학적 배 움의 본질을 규명해 보았다. 공자는 평생동안 자신의 이상적 인물인 주공(周公)을 본받고자 하였다. 곧 그가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여왔던 ‘학(學)’은 다름 아닌 ‘자신의 이상적 인간과 같이 되고자 하는 것’ 즉 ‘본받음’이었다. 니시 아마네는 ‘Philosophia’를 최초로 철학(哲學)이라는 단어로서 번 역한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처음에 ‘Philosophia’를 ‘희현학(希賢學)’과 동의어인 ‘희철학(希哲學)’으로 번역하였다. 왜냐하면 ‘Philosophia’를 그 가 ‘이상적 인간을 본받고자 하는 유학적인 배움’으로서 이해하였기 때 문이었다. 그러나 니시 아마네는 유학 특히 주자학적 입장은 서구의 실 증주의와 공리주의를 수용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희철학(希哲 學)’에서 ‘희(希)’자를 삭제하였다. 니시 아마네가 조어한 ‘철학’이란 용어 는 이후 동아시아에 퍼지게 되는데, 그 과정동안 서양의 실증주의와 공 리주의 철학도 함께 확산되었다. 이와 함께 우리의 근대적 배움에 ‘과학 적 방법을 최우선에 두는 철학(哲學)’만 남고 ‘이상적 인간을 본받고자 하는 유학적인 공부로서의 희현학(希賢學)이나 희철학(希哲學)’은 사라지 게 되었다. 강학공간과 제향공간을 함께 두는 묘학제(廟學制)의 형식은 유학 교육 기관의 가장 큰 특징이다. 향교·성균관·서원 건축물은 ‘배우는 이들이 제 향(祭享)을 통해 삶의 모범을 확인함과 동시에 존경하도록 하고 또한 그 삶의 모범들이 남긴 교재들을 강학(講學)케 하여 자신도 모르게 삶의 모 범과 닮아가기를 유도’한다. 또한 그 건축물들은 ‘배움’이란 ‘일상에서 초 일상을 향하는 것’이며, ‘세속에서 신성으로 나아가는 것’이며, ‘형이하의 세계에서 형이상의 세계로 다가가는 실로 위대한 행위’라는 것을 상징하 고 있다.

    영어초록

    Confucianism, Emulation, Hichulhak[希哲學the learning of desiring sage], Philosophy, Myoakjje[廟學制 the Coexistance system of the Learning hall and the Shrine hall in the confucian educational build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space, sacrificial spa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learning(學) in confucianism. Firstly, I briefly reviewed Confucius’s the learning. Second, Next, I investigatedthe process that Nishi Amane(西周) coined the word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learning of Confucianism’ had been disappeared in that word. Finally I examined the essence of Confucian learning by means of the Myoakjje(廟學制), which is the characteristic feature in Confucian educational institutions. Confucius wanted to emulate his ideal person, Duke of Zhou, for a lifetime. The ‘learning’, which he had devoted his whole life to, was ‘to be like his ideal human being’, ie, ‘emulation’. Nishi Amane(西周) is the first person to translate ‘Philosophia’ as the word ‘Chulhak(哲學)’. But, he first translated ‘Philosophia’ as ‘Hichulhak(希哲學)’ synonymous with ‘Hihyunhak(希賢學)’. Because he understood ‘Philosophia’ as a ‘Confucian learning’ of emulating ideal person. Nishi Amane, however, thought that confucian point of view, in particular, Chu Hsi learning’s standpoint interfered with the acceptance of western positivism and utilitarianism, so he removed the ‘Hi(希)’ from the ‘Hichulhak(希哲 學)’. The term ‘Chulhak(哲學)’, which Nishiamane coined, had been spread to East Asia, and in addition, Western positivism and utilitarian philosophy had been spread. As the term had been spread to East Asia, only the ‘Chulhak(哲學)’ whicht puts the scientific method first is left, and ‘Hichulhak(希哲學)’ or ‘Hihyunhak(希賢學)’ has disappeared.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Confucian educational institutions is Myoakjj, that places the learning space and the sacred space together. The architecture of Hyeonggyo(鄕校), Sungkyunkwan(成均館) and Seowon(書院) allow the learners to identify the example of life through a sacrificial rites and to respect them, to learn the textbooks left by the models of life, and to resemble the model of life without knowing themselves. And, the buildings symbolize the ‘learning’ as ‘going from everyday life to transcendental world’, ‘going from secular to divine’. And, that architecture symbolize ‘learning’ as ‘the great act’ that is the journey form the physical world to the metaphysical world. The architecture of Hyeonggyo and Sungkyunkwan make the learners recognize the example of life through the festival and respect them, and also learn the materials left by the models of the life, and make them resemble the model of life without knowing themselves 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