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화승 묘영(妙英)의 하동 쌍계사 승당(僧堂) 아미타극락회상도 연구 (A Study on Amitabha’s paradise preaching assembly painting of Leading Monk painters Myo Yeong’s Hadong Ssanggyeasa Seungda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23P 미리보기
수화승 묘영(妙英)의 하동 쌍계사 승당(僧堂) 아미타극락회상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9호 / 171 ~ 193페이지
    · 저자명 : 안희숙

    초록

    쌍계사 승당(僧堂) 아미타극락회상도는 적색바탕에 황색 선묘(線描)로 표현하고, 경물(景物)과 안면은 채색을 한 변상도(變相圖)이다. 이 불화는 1888년 수화승 묘영이 제작하여 쌍계사 승당에 봉안하였다.
    화면 중앙에는 아미타삼존을 중심으로 좌우에 6보살, 가섭, 아난, 사천왕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구성은 益贊의 송광사 자정암 아미타불회도(1835년)와 유사하다. 본존 아미타불은 설법인을 취하고 솟아오른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 자세로 앉아 있으며, 대좌 아래에는 쌍사자가 자리하고 있다. 부처의 사자좌를 상징한 사자 표현은 就善의 비로암 비로자나불도(1869년)의 사자를 착안하여 그린것으로 보인다. 불교 회화에서 부처님의 대좌에 쌍사자를 배치한 현존한 첫 사례는 고구려 고분 벽화 장천 1호묘 전실의 예배도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부처님의 대좌 아래에 쌍사자를 묘사한 사례는 쌍계사 승당본이 처음이며, 妙英의 창의성이 엿보인다.
    화면 상단에는 『정토삼부경』에서 설한 극락조, 악기, 꽃비 등이 아미타극락세계를 장엄하고 있다. 경물과 顔面은 모두 채색하고 나머지는 황색 선묘로 처리하고 있다. 이는 19세기 선묘로 그린 불화의 특징이며, 도상의 채색 범위가 확대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妙英의 활동 시기는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이다. 활동 초기와 후기에는 주로 전남지역에서 활동하였으며, 중기에는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을 왕래하며 작업하였다. 수화승 妙英이 쌍계사 승당본을 그린 시기는 그의 활동 중반에서 후반으로 넘어가는 시기이며, 이는 스승인 天如가 말년에 주로 선묘 불화를 그린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와같이 쌍계사 승당본은 妙英의 유일한 선묘불화이며, 대좌의 쌍사자 표현은 그의 독창성을 엿볼 수 있다. 이는 妙英의 작업 활동시기 가운데 중기에서 후기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조성된 것으로 그의 화풍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작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sanggyesa Seungdang(僧堂) Amitabha’s paradise preaching assembly painting is expressed in yellow lines on a red background, and the objects and face are colored. This Buddhist painting was made in 1888 by painting of Leading Monk painters Myo-yeong and enshrined in Ssanggyesa Seungdang.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Amitabha Triad is composed of six Bodhisattvas on the left and right, Gaseop, Anan, and the Four Heavenly Kings. The main deity Amitabha Buddha takes the sermon and sits in a cross-legged posture on the raised lotus pedestal, with twin lions under the pedestal. The lion, symbolizing the Buddha's lion seat, seems to have been drawn with the inspiration of the lion in Biroam Birojanabuldo(1869) by Chwiseon. The first extant case of depicting twin lions on the Buddha's pedestal in Buddhist paintings can be found in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Jangcheon No1. Since then, the first case of depicting a pair of lions under the pedestal of Buddha is the first case of the Ssanggyesa temple, and the creativity of it is seen. To the left and right of Amitabha Buddha are the Kannon and Seji Bodhisattvas facing the front. The arrangement of the two bodhisattva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Amitabha Buddha (1856), the Cheon-Yeo of Seonamsa Temple’s Seonjoam.In addition, the Gwaneum·Seji Bodhisattva, which has a circular light beam and a boat-shaped beam, is the same as the cheon-yeo Amitabha Samzondo (1866) at Hwaeomsa Temple, and the Painting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at Jajeongam at Songgwangsa Temple in Chuseon (1879).This appears to have been referenced by Myo-yeong while participating in the work of Gustoam and Jajeongam.At the top of the screen, the birds of paradise, musical instruments, and flowers, etc., as described in ‘Chungtosambu-kyung’ are drawn.All the objects and faces are colored, and the rest is treated with yellow line drawing.This is characteristic of Buddhist paintings drawn in line drawing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olor range of the icon has been expanded.The period of activity of Myoyeong is from the mid-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In the early and late stages of his activities, he mainly worked in Jeollanam-do, and in the middle period, he traveled to and from Gyeongsang-do and Jeolla-do.The period in which Suhwa Monk Myo-yeong painted the Amitabha Geuknak Reminiscences was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middle to the second half of his activities, and this is in line with his teacher Cheon Yeo, who mainly painted the Buddhist paintings of Seonmyo in the later years of his life.As such, the Ssanggyesa Amitabha Geuknak Hoesangdo is the only Zen-myo Buddhist painting of the Myoyeong, and the expression of the twin lions on the pedestal shows his originality.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reated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the late period of Myo-yeong's activities and serves as a reference work for distinguishing his style of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