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Changes of the Dolmen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uncheon A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92호 / 31 ~ 60페이지
    · 저자명 : 송만영

    초록

    본 논문은 춘천 지역 무덤의 장제 변화와 관련하여 지석묘가 조성된 청동기시대 중기에 이차장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점에 주목하여 그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춘천 지역의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으며, 특히 지석묘가 가장 밀집된 중도 유적에서는 대형 취락이 해체된 중기 후반부터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석묘는 매장주체부 위치를 기준으로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 깊은 지하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노출될수록 묘역 시설과 매장주체부 규모가 큰 반면에 지하로 내려갈수록 묘역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하더라도 작은 규모이며, 매장주체부도 작은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구조 차이는 시간을 반영하는데, 지상식→반지하식→지하·깊은 지하식 순으로 매장주체부 위치가 변화하면서 지석묘 규모가 소형화 되는 점으로 보아 지석묘 조성에 투여되는 노동력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석묘 구조와 규모 변화는 천전리와 중도 유적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데, 전반적으로 매장주체부의 지하화와 소형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차장의 장제가 일반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 이래로 인구 과밀을 극복하기 위한 적응전략에 따라 대형 취락이 해체되고 혼합경제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과 관련된다. 토지에 의존도가 높은 생계경제가 포기되면서 농경지 확보를 전제한 이념조작의 전통적 기제로서 지석묘의 사회경제적 기능이 약화된 결과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funeral system of the secondary inhumation in the mid-Bronze Age, during which dolmens were built,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is increase in connection with changes of the funeral system in Chuncheo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dolmens in Chuncheon area were constructed intensively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in particular, in Jungdo site they were continuously buil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in which the large-scale settlements, were dismantled to the Clay-stripe Pottery period.
    The dolmen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 ground, semi-underground,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While the more the central part of the landfill gets exposed, the larger the tomb facility and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gets, the more the central part goes down, the fewer the tomb facility is set up; even if the facility is set up, the size of i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re small. These structural differences reflect time sequence: the size of dolmens gets low as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changing in order of ground → semi-underground →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The change also indicate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abor force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dolmens.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scale of the dolmens ar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eonjeon-RI and Jungdo sites. In these sites, it exhibits the rapid process of undergroundization and miniaturiz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in this process, the secondary inhumation has become generalized. Besides,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large-scale settlements being dismantled and converted into mixed-economic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adaptive strategy to cope with overpopulatio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