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지역 목관묘․목곽묘의 분포양상과 의미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Meaning of Wooden Coffin and Wooden Chamber Tombs in the Ulsan Reg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12
28P 미리보기
울산지역 목관묘․목곽묘의 분포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5권 / 211 ~ 238페이지
    · 저자명 : 이원태

    초록

    이 글은 울산지역 원삼국~신라 조기의 목관묘 ․ 목곽묘를 중심으로 분포양상과 의미에 접근하였다. 그 결과 울산지역 목관묘 ․ 목곽묘의 분포양상은 크게 서부권역과 동천유역권으로 나뉜다.
    즉 서부권역은 거리, 청룡, 교동리, 신화리, 반송리, 상천리, 조일리유적이고, 동천유역권은 중산리, 창평동, 장현동, 우정동, 다운동, 신천동, 두왕동 동백골 ․ 본동유적이다. 특히 울산지역 목관묘는 기원전 2세기 말~기원전 1세기 전엽에 교동리, 신화리, 상천리유적 등에서 먼저 출현하지만 창평동과 장현동유적이 위치한 동천유역권이 오랫동안 존속하고, 중산리유적 등의 목곽묘 단계에는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 뚜렷하다.
    결국 울산지역 목관묘 ․ 목곽묘는 서부권역보다 경주권역에 속하는 동천유역권에 세력이 결집되는 현상을 보인다. 특히 달천광산의 존재는 서부권역보다 동천유역권의 세력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요인이 되었고, 이는 사로국 등의 성장과 맞물렸을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달천광산은 동천유역권으로 인구를 전략적으로 모으는 요인 등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경주 월성북고군분 세력은 철생산의 독점시장원리를 최대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pproached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meaning of wooden coffin and wooden chamber tombs in the Ulsan regio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Incipient Shilla Period.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patter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western area and the Dongcheon River basin area. That is, the western area includes the Geo-ri, Cheongryong, Gyodong-ri, Sinhwa-ri, Bansong-ri, Sangcheon-ri, and Joil-ri relics. The Dongcheon River basin area includes the sites of Jungsan-ri (dong), Changpyeong-dong, Janghyeon-dong, Ujeong-dong, Daun-dong, Sincheon-dong, and Duwang-dong Dongbakgol ․ Bon-Dong relics. In particular, wooden coffin tombs first appeared in the Gyodong-ri, Sinhwa-ri, and Sangcheon-ri sites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the early 1st century BC. The tombs had been around for a long time in the Dongcheon River basin where the Changpyeong-dong and Janghyeon-dong relics are located. In the subsequent wooden chamber tomb stage, the pattern had become more intense.
    Ultimately, the wooden coffin and wooden chamber tombs of the Ulsan regio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how that power was concentrated in the Dongcheon River basin, which was controlled by the Gyeongju forces, rather than in the western area.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the Dalcheon mine became a factor in the reorganization of power centered on the Dongcheon River basin area rather than the western area. It is believed that this coincided with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Saro (斯盧國). This is because the Dalcheon Mine actively reflected factors such as strategic gathering rather than factors that caused population to gather in the Dongcheon River basi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yeongju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月城北古墳群) forces took full advantage of the monopoly market principle of iron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