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俛宇 郭鍾錫의 南冥學 이해와 학술사적 위상 규명 - 「南冥曺先生墓誌銘」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n Myeonwoo Kwak Jong-seok’s Understanding of Nammyeong School and his Status in Academic Histor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Nammyeongjoseonsaeng myojimyeong(南冥曺先生墓誌銘)」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12
34P 미리보기
俛宇 郭鍾錫의 南冥學 이해와 학술사적 위상 규명 - 「南冥曺先生墓誌銘」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9호 / 141 ~ 174페이지
    · 저자명 : 전병철

    초록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이 지은 「南冥曺先生墓誌銘」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라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南冥 曺植(1501-1572)을 통해 자신을 비롯한 유학자들이 결코 잃지 말아야 할 희망의 碩果를 어떻게 표상화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곽종석의 「남명조선생묘지명」은 남명의 생애에 관한 자료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지어진 것으로, 이전의 기록들을 집성하여 남명의 학문, 교육, 출처, 학술사적 위상 등 전체 면모를 매우 완비된 체계로 드러내었다.
    곽종석은 묘지명에서 남명의 생애를 서술하면서 2가지 사안에 대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하나는 “처사로서 고상하게 처신하고 방외에서 과감히 세상을 잊었다.”라고 남명의 은거를 비판하는 평가에 대한 반론이다. 곽종석은 남명의 19세로부터 45세까지 청장년 동안 2차례나 큰 사화가 발생하여 선한 부류가 죽임을 당하고 절친한 벗들이 절반이 넘게 재앙을 당한 상황이라는 시대적 조건을 지적했다. 다른 하나는 “행함에 독실했고 앎을 급하게 여기지 않았다.”라고 남명의 학문을 낮추어 보는 잘못을 바로잡았다. 곽종석은 이런 비판에 대한 반론으로, 남명의 저술 중에서『學記』와 「神明舍圖銘」을 거론했다.
    곽종석은 남명의 학문에 관해 해명하는 데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 위상을 규명하는 데에까지 나아갔다. 곽종석은 남명의 삶과 행적, 학문과 수양 등은 송대 六賢의 장점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곽종석은 銘文의 마지막 구절에서 孔子가 ‘나를 아는 이는 하늘뿐이로다!’라고 탄식한 말을 인용했는데, 공자가 그러하셨듯이 남명이 견지한 脚踏實地의 학문 자세와 敬義 사상의 양단적 균형은 당대적 한계를 넘어 만고의 사표가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기 위해 설정한 수사 장치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인물에 대한 묘사는 아무리 다각적이고 입체적으로 표현하려 해도 결국 남겨진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곽종석의 묘지명이 가지는 탁월한 성취와 함께 이 작품에 내재한 의도적 선택과 시대적 제약에 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Focusing on 「Nammyeongjoseonsaengmyojimyeong」 written by Myeonwoo Kwak Jong-seok(俛宇 郭鍾錫, 1846~1919),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he represents the hope that Confucianists including himself should never lose through Nammyeong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within the dark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Kwak Jong-seok’s 「Nammyeongjoseonsaengmyojimyeong」 is the last material out of the ones dealing with Nammyeong’s life, and it compiles previous records to describe Nammyeong in every aspect including his status in academia, education, sources, and academic history in a fairly completed system.
    Describing Nammyeong’s life in the cemetery, Kwak Jong-seok paid special attention to two issues. One is the critical evaluation of Nammyeong’s seclusion; “As a seonbi who did not go to public office, he behaved gracefully and boldly forgot about the world in the woods. It is an evaluation that criticizes Nam Myung’s retirement. Kwak Jong-seok pointed out the conditions of the time when good people were killed and more than half of his close friends met with a misfortune due to two major massacres of scholars(士禍) in Nammyeong’s youth and midlife from 19 to 45. The other is the low evaluation of Nammyeong’s studies; “He was devout in his conduct and did not learn hastily.” As a counterargument to that criticism, Kwak Jong-seok mentioned『Hakgi(學記)』 and 「Sinmyeongsadomyeong(神明舍圖銘)」 out of Nammyeong’s writings.
    Kwak Jong-seok did not stop at explaining Nammyeong’s studies but went as far as identifying his status aggressively. Kwak Jong-seok evaluated that Nam Myeong’s life, activities, studies, and discipline are a compilation of the merits of Songdae Yukhyeon (宋代 六賢). Also, Kwak Jong-seok cited Confucius (孔子)’s lamentation of ‘Only heaven knows me!’ in the last verse of the epitaph. As Confucius did, it implies that Nammyeong’s bilateral balance between solid academic attitude and the idea of gyeongui (敬義) makes him go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 and become an eternal guiding light. However, the description of a person has a limitation that no matter how multilaterally and three-dimensionally you try to express him, there will be parts left behind inevitably. It will be needed to consider thoroughly not only the outstanding achievements of Kwak Jong-seok’s epitaph but the intentional choices and the constraints of the time inherent in that work, t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