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묘소 관리와 묘사(墓舍)의 확산 (A study on cemetery management and the spread of ‘myosa[墓舍]’ during the Joseon Dynas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11
41P 미리보기
조선시대 묘소 관리와 묘사(墓舍)의 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53권 / 45 ~ 85페이지
    · 저자명 : 정해득

    초록

    고려후기 주자성리학이 도입된 이후 『주자가례』에 따른 삼년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이색(李穡)은 직접 삼년상을 여묘에서 진행하였다. 그 이후 이색의 방식을 따라 여묘 살이를 하는 사대부들이 증가하였는데, 여묘에는 임시로 제각(祭閣)을 만들어 각종 제전(祭奠)을 올렸다. 그에 따라 선조의 체백을 모신 묘소는 혼을 모신 가묘(家廟)와 함께 마땅히 수호하여야할 장소로 깊이 인식하게 되었고, 묘소의 관리문제가 대두되었다. 각 가문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사찰의 도움을 받아 묘소 관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부분의 조선 왕릉은 능침사찰을 지정하거나 창건하였고, 대군과 공주들의 묘에도 분암을 창건하였다. 왕실의 행태는 사사 훼철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신이나 고위 관료들의 분암을 강력하게 금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기도 하였으나 조선 정부는 민간의 사찰 신설을 지속적으로 금지해나갔다. 이에 따라 삶의 터전을 잃은 승려들은 명문대가의 비호를 받기 위해 묘소를 수호해 주는 역할을 떠맡았다. 그 결과 17세기에 이르러 ‘재암(齋庵)’ 또는 ‘분암(墳庵)’에 거접하는 승려들을 국가 공역에 징발하지 못하여 다른 방법을 찾는 경우까지 발생하였다.
    이황은 주자의 사례와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가문에서 재사(齋舍)를 만들되 승려들을 거주시켜 묘소를 수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은 승려들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점점 늘어나게 되는 문제와 재사에서 불사를 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문에서 직접 묘사를 관리하여야 했다. 인조대 이후 예장 묘역에 묘사를 하사하고 승려를 환속시키려는 조처가 진행되자 주자의 한천정사(寒泉精舍)를 모범으로 삼아 묘역 부근에 묘사를 짓고 머물며 강학공간으로 삼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점차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살림까지 가능한 묘사가 확산되었다. 서원·사우에 관한 금령이 반포된 이후에는 묘사에 사우의 기능을 부여하려는 움직임까지 나타났다.
    묘소에서의 제사를 중시한 조선의 사대부들이 평상시 무덤을 관리하면서 재계할 묘사시설까지 마련한 것은 조선 예학연구의 성과를 보여준것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에 확립된 묘사는 가묘와 더불어 가문의 성소가 된 묘소를 관리하기 위한 시설로서 여러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After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 Goryeo Dynasty, Lee Saek[李穡] personally conducted the three-year mourning ceremony at Yeomyo[廬墓] to establish the three-year mourning ceremony according to the 『Jujagarye[朱子家禮]』. The number of noblemen living in Yeomyo in an unusual way increased, and they made temporary shrines at Yeomyo and held various ceremonial ceremonies. Accordingly, the tombs that enshrined the bodies of ancestors came to be deeply recognized as places that should be protected along with the family shrines[家廟] that enshrined their souls, and in most cases, they were protected with the help of temple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Most royal tombs had a tomb temple designated or built, and 'Bunams[墳庵]' were also built at the tombs of princes and princesses. In the process of pursuing a policy of destroying temples, the royal family's behavior made it difficult to strongly prohibit public servants or high-ranking officials from entering Buddhist temples. As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ban the construction of new temples, monks who lost their livelihoods took on the role of guarding tombs in order to receive the protection of prestigious monks, and by the 17th century, monks who were accepted to 'Bunam' or 'Jaeam[齋庵]' There were even cases where they could not be commandeered into national airspace.
    Considering the case of Zhu Xi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Lee Hwang[李滉] suggested a plan to create a ‘Jaesa[齋舍]’ in the family and protect the tomb while allowing monks to live in it. This plan also addressed the problems of increasing costs for monks and the problem of performing Buddhist rituals at the Jaesa. To solve this problem, the family had to directly manage the depiction.
    After the reign of King Injo, depictions were given to the tombs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measures were taken to repatriate monks. Using Hancheonjeongsa[寒泉精舍] as a model, monks stayed near the tombs and used them as teaching spaces, spreading the depictions around the Gyeonggi region. After the ban on ‘Seowon[書院]’ and ‘Sawoo[祠宇]’ was promulgated, there was even a movement to give the function of Sawoo to the depictions.
    The fact that Joseon's noblemen, who placed great emphasis on ancestral rites at graves, managed tombs on a daily basis and even provided facilities for ablutions shows the achievements of Joseon's rituals. The description established after the 17th century was that the family shrine, along with the family tomb, had various functions and meanings as a facility for managing the tom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