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A Study on Philosophical Meaning of Nalmoe Drum D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4
22P 미리보기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29권 / 1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백현순

    초록

    본 연구는 대구지방문화재 제 2호인 날뫼북춤의 유래와 함께 춤사위 연희과정을 짚어보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철학적 의미를 고찰 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날뫼북춤의 유래나 춤사위 연행과정을 기존의 연구물이나 서적 등을 통해 서술하고, 그 후 철학적이고 근원적인 연구를 위해 동양철학서나 미학 혹은 굿에 대한 무속사상사 등의 이론을 토대로 날뫼북춤에 대한 철학적의미를 총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모신앙의 무속적 의미가 들어 있었다. ‘날뫼’의 지명은 우리나라 상고의 신모신앙에 근원하고 있으며 날뫼북춤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질서 속에서 서로 근원 회귀하여 화합을 이루려는 신모신앙의 무속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둘째, 원융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융이란 ‘하나로 결합하여 온전히 소통하는 것’을 의미하며 날뫼북춤속의 강강술래는 원을 그리는 원무로 춤을 추는 사람이 출발에서부터 끝으로 연결되어 원으로 귀착되어 지는데 이러한 원은 원융사상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무위자연의 정신을 함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날뫼북춤의 여섯째 마당인 ‘허허굿’에서는 한발을 들고 뛰면서 북을 둥둥 치는데 그 소리와 함께 춤꾼들은 입으로 ‘허허’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내부의 자연적인 자발성으로 허허라는 소리를 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도가에서는 무위자연이라 부른다. 따라서 허허굿의 ‘허허’라는 춤의 말속에는 북과 하나가 되어 무위자연의 경지에 복귀하려는 삶의 철학이 들어 있다고 보여 진다. 넷째, 날뫼북춤의 일곱째마당은 ‘오방진’이라 하여 동서남북과 중앙을 뜻하는 다섯 방위에 대형을 형성하여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이 추어진다. 이때의 오방은 음양오행사상에 기반하여 우주와 자연의 섭리를 깨우쳐 조화되지 못한 모든 부조화를 상생상극의 원리로 순조롭게 살아가자는 의미의 소원을 담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Nalmoe Drum Dance, the 2nd Daegu cultural properties, the movement process of the dance,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in the motion; the origin and the proc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books ,depending on literature research. The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drum dance is generally discussed, based on Eastern philosophy books, aesthetics and the shaman history of exorc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ome shaman meaning on mother-goddess religion. The area of 'Nalmoe' has the root of the Korean ancient religion and the drum dance includes shaman implication of pursuing the harmony, in the provi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Second, thought of wonyoong is immanent. Wonyoong can be defined as 'overall communication' and Kangkangsullae in the drum dance has the formation of a circle; the circle seems to have thought of wonyoong. Third, there is an idea of 'letting be nature'. In the 'Haha exorcism', the sixth episode of the drum dance, the dancers hit the drum, jump with one foot and say haha, with a laugh. it is called 'letting be nature' in Taoism. In other words, the word 'haha' in the Haha exorcism appears to have the implication of coming back to 'leaving nature as it is'. Finally, Obangjin, the 7th episode of the drum dance, has the stage of praying for the peace and well-being, forming some arrays from all directions; through the realization of provision of nature, it involves changing all existing incongruity into the harmonious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