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신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포스트모더니즘 특성에 대한 연구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과 <나타: 마동강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Chinese Mythological Animation –Focusing on and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중국 신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포스트모더니즘 특성에 대한 연구 -&lt;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gt;과 &lt;나타: 마동강세&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7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왕문아, 정혜경

    초록

    중국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적 기반이 부족하지만, 198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은 중국에서 빠르게 발전하여 영화, 애니메이션 등 대중문화 분야에서 그 특성이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 가 어떻게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을 반영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포 스트모더니즘이 중국 신화 소재 애니메이션 영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우선 포스트모더니즘의 기원과 주요 특징을 살펴 본 후, ‘마오옌’ 영화의 박스 오피스 데이터와 평점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신화 소재 애니메이션 작품인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大圣归来, 2017)과 <나타: 마동강세>(哪吒: 魔童降世, 2019)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외형, 성격 및 대사를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 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밝혔다. 연구 결과, 포스트모더니즘이 애니메이 션 분야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현대 중국의 신화 소재 애니메이션은 전통적 신 화의 구속에서 벗어나 신화적 인물들을 본질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신화적 캐릭터들은 “추의 미학”과 부조리한 성격, 그리고 카니발화된 언어를 통해 전 통적인 신성의 권위를 전복하고, 인간적 욕망과 결함을 드러낸다. 더불어, 관 객들은 전통적 주체성을 비판하고 개별성을 억압하는 사고방식을 거부하며, 표현의 자유, 다양성, 오락적 쾌락을 갈망한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요구 는 신화를 재구성하여, 일반 대중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대중의 표현 욕 구를 나타낸다. 관객들은 신화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몰입하여 자아를 표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현대적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신화와 애니메 이션의 문화적 및 예술적 가치를 새롭게 평가하는 계기를 제공받는다. 본 연 구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Although China lacks a solid social foundation for postmodernism, this cultural trend has rapidly developed since the 1980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in mass media, including film and anim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aracters in Chinese myth-based animation films reflect postmodern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postmodernism on these works. First, the origins and key features of postmodernism are explored. Then, based on box office data and ratings from Maoyan, two representative myth- based animated films, <Monkey King: Hero is Back>(大圣归来, 2017) and <Ne Zha: Birth of the Demon Child>(哪吒: 魔童降世, 2019),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haracters’ appearance, personality, and dialogue, the study reveals how postmodern characteristics are manifested in these fil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s postmodernism has deeply permeated the field of animation, contemporary Chinese myth-based animation films have fundamentally reinterpreted traditional mythological figures by breaking free from conventional restraints. Characters in these animations embody postmodern elements such as the “aesthetics of ugliness,” absurd personalities, and carnivalesque language, thereby subverting the authority of traditional sacred images and exposing human desires and weaknesses. Furthermore, the audience critiques traditional subjectivity and rejects thought patterns that suppress individuality, desiring freedom of expression, diversity, and entertainment-based pleasure. This postmodernist demand leads to the reconstruction of mythology, where common people become protagonists, expressing the public’s aspiration for a voice in storytelling. Viewer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mythological world, discover aspects of themselves, and express their identities, meeting modern aesthetic needs while offering new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mythology and animat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Chinese animation and serves as a useful reference for the global animation industry. It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