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전통 문학작품 기반 애니메이션의 커뮤니케이션 편향성에 관한 연구 『서유기』, <몽키킹>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Bias of Communication in the Animation with the Theme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ry Works Taking and as the Research Center)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12
14P 미리보기
중국 전통 문학작품 기반 애니메이션의 커뮤니케이션 편향성에 관한 연구 『서유기』, &lt;몽키킹&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6권 / 4호 / 247 ~ 260페이지
    · 저자명 : 치하이르한

    초록

    해럴드 이니스(Harold Innis)는 『커뮤니케이션의 편향(Bias of Communication)』(1951)과 『제국과 커뮤니케이션(Empire and Communication)』(1950)에서 매체의 편향성 이론을 논증하였다. 소설과 애니메이션은 서로 다른 두 가지 매체로서 수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고 자극하는 뇌의 영역도 다르며 수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술적 체험도 다르다. 매체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체험을 제공하게 되고 이때 매체의편향성이 생기게 된다. 해럴드 이니스의 커뮤니케이션 편향성 이론을 바탕으로 문자 매체와 애니메이션 매체를분석하면 문자매체와 애니메이션 매체 간에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공통적인 부분이 바로이 두 가지 매체가 상호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매체 형태로서 문자매체와 애니메이션매체는 각자의 특징과 편향성을 갖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발전 초기 단계에서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다른 기존예술 형식으로부터 경험을 참고하면서 발전할 수밖에 없었다. ‘모든 예술 형식은 아무런 이론적 배경이 없이 갑작스럽게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드시 인류가 가진 지식을 활용하여 발전한 것이다.’1) 애니메이션은 많은예술 형식들의 융합된 예술로 선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애니메이션은 프랜차이즈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매체이자 시각적 기호의미를 전환하는 중요한 플랫폼이 된다. 또한 애니메이션 발전 과정에서 여러 예술적형식들이 애니메이션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흔히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문학은 오랜 기간 동안 중요한 예술형식으로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복잡한 생활 갈등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때문에 중국 애니메이션산업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가진 전통 문학작품을 애니메이션으로 각색하는 문학 기반 애니메이션의 제작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편향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구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에 있어 매체 전환으로 인한 편향성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Harold Innis’s books <The Bias of Communication> (1951) and <Empire and Communications> (1950), he demonstrated the bias theory of media. Novels and animations are two different media. They interact with the audience in different ways. The active areas of the brain that are activated and the art experience are also completely different. This different experience is just the bi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media conversion. When analyzing text media and animation media based on Harold Innis’ bias theory of communication, it can be found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parti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vert between them. But as different media, the two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biases. At the beginning of its birth, because new art has just emerged, animation must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other existing art forms to enrich itself. "An art can never suddenly appear in front of us without any theoretical basis. It must absorb the nutrients of existing human knowledge and quickly digest them. The great thing about animation is that it's a combination of many arts." It can be seen that animation is not only an important channel of franchise storytelling, but also an important carrier of visual symbol conversion. At the same time, it is a collection of cross-media communication in various historical stages and various art forms. On the other hand, as a kind of mainstream art for a long time, literature profoundly and extensively reflects the complicated life contradictions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people's life. Therefore, the classic literary works with a broad mass base in China have become the best source of materials which are used for adapted into animation. And it has formed a continuous trend of "adaptation of literature into animation" in Chinese animation industry. As a result, the accurate grasp and research of this bias can make us control the animation film more accurately. The impact brought by the bias of communication will be minimized in the process of media conv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