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몽 양국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평서문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between the Declarative Sentence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For Korean Learners of Mongolian and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7
26P 미리보기
한·몽 양국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평서문 대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2호 / 69 ~ 94페이지
    · 저자명 : 김기성

    초록

    양 언어가 모두 서술어 동사에 종결어미를 연결해 평서문을 형성한다는 점에서만 본다면, 양 언어의 평서문 형성 방법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몽골어 평서문의 종결어미는 서술, 진술 기능과 함께 ‘시제종결어미(цагаар төгсгөх нөхцөл)’나 ‘한정연결어미(тодотгон холбох нөхцөл)’가 지닌 각 시제와 동작, 행위의 상(양상), 양태 등의 의미가 함께 나타난다. 즉, 시제종결어미는 각 시제 의미와 더불어 화자의 ‘직접 인식’, ‘간접 인식’이라는 ‘시제‒양태’ 의미가 나타나며, 한정연결어미는 각 시제 의미와 더불어 동작, 행 위의 ‘완료’, ‘진행’, ‘습관·반복’, ‘기동’ 등의 ‘시제‒상’ 의미 등이 함께 나타난다. 한편, 한국어의 단순서술형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에 따른 청자에 대한 높임(대우) 체계와 서술, 진술의 의미만이 나타날 뿐이며, 몽골어 와 같은 시제, 상, 양태 등의 의미는 종결어미가 아닌 종결어미의 앞에 오는 ‘선어말어미’가 그 역할을 담당한 다. 부연하자면 한국어 평서문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의 등급에 따라 다른 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이처럼 양 언어의 종결어미는 그 기능과 역할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은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평서문의 주요한 차이점 이라 할 수 있다 . 현대몽골어에서는 형용사나 명사가 문장 끝 서술어의 자리에 기본형(몽골어: 형용사 원형, 한국어: 형용사 어간 + -다) 그대로 올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한국어와 유사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형용사가 동사처럼 그 자체로 활용을 할 수 있지만, 몽골어의 경우는 형용사 자체로는 불가하고 그 대신 형용 사 뒤에 계사(copula) 역할의 보조동사 ‘бай-(이다)’를 취해 이를 활용시킨다. 이러한 점은 한국어와 다른 점 이다. 이것은 몽골어의 형용사가 명사와 비슷한 문법적 속성을 지녔다면 한국어의 형용사는 동사와 비슷한 속 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nsidering that both languages, Mongolian and Korean, form declarative sentences by attaching a final ending to a predicate verb, it can be said that the way of forming declarative sentences in both languages is fundamentally similar. However, the endings of declar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have the functions of being a narrative and a statement, as well as including the meanings of each tense, aspect, and modality of the ‘tense terminating suffix(цагаар төгсгөх нөхцөл)’ or ‘attribute connective suffix(тодотгон холбох нөхцөл)’. In other words, tense terminating suffix show the ‘tense-modality’ meaning of the speaker’s direct and indirect perceptions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each tense, while the attribute connective suffix demonstrate ‘tense-aspect’ meaning of the action, such as ‘completion,’ ‘progress,’ ‘habit and repetition,’ and ‘future movement’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each tense. On the other hand, the simple narrative final ending in Korean only indicates the system of honorification (treatment) of the listener and the meaning of a narrative and a state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honorification method, where the meaning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as in Mongolian is not bore by the ending but by the ‘pre-final ending(선어말어미)’ that precedes the ending. In short, the final ending of Korean declarative sentences uses different ending forms according to the ranks of the relative honorification method. Thu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final ending in both languages vary, and are one of the main differences in declar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and Korean. In modern Mongolian, an adjective or noun can take the place of an end of sentence predicate in its original form (Mongolian: adjective in original form, Korean: adjective stem + ‘-da’), which is deemed similar to Korean. In the case of Korean, however, adjectives can be used in themselves like verbs, which is not the case in Mongolian, where adjectives cannot be used in themselves. Instead, they are conjugated by taking the auxiliary verb ‘бай-’ (is), which takes on the role of a copula, after the adjective. This is different from Korean. This is because Mongolian adjectives have grammatical properties similar to nouns, while Korean adjectives have properties similar to verb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