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竩政權의 對蒙和議論 수용과 崔氏政權의 崩壞 (The Collapse of Choi Yui’s Political Power(崔竩政權) due to Acception of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蒙古))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04
36P 미리보기
崔竩政權의 對蒙和議論 수용과 崔氏政權의 崩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28호 / 521 ~ 556페이지
    · 저자명 : 강재광

    초록

    1257년에 집권한 崔氏政權의 마지막 執政 崔竩는 부친 崔沆이 사망하자 그동안 崔氏家에 깊은 불만을 품어왔던 江都朝廷의 문․무신 집단을 완전히 장악하는 데 한계를 노출하였다. 또한 車羅大의 제5차 침입 이후 점차 불리해져 가는 對蒙戰爭을 극복할 수 있는 정치․군사적 역량이 부족했다. 최의는 최항정권의 和戰兩面論을 계승하여 ‘和’와 ‘戰’을 균형 있게 추진하려 했지만 최항정권 말엽 강도조정에 거세게 불어닥쳤던 對蒙和議論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몰리고 있었다. 그 시점은 대략 고종 44년 9월경이었다. 최의가 대몽화의론을 수용한 것은 起居注 金守剛이 2차례의 表文外交를 통해 對高麗强硬論者였던 몽고 憲宗을 설득하여 몽고군을 철수시키는데 성공한 對蒙講和外交에 크게 고무되었기 때문이었다.
    崔竩政權이 대몽화의론에 의지하여 대몽전쟁을 기피하는 가운데 최의는 附蒙輩 閔偁의 귀순을 받아주었으며 海島入保를 강도 높게 추진하였던 宋吉儒를 臟物罪를 물어 유배보냈다. 최의정권이 대몽화의론 쪽으로 급선회하고 抗蒙論者를 멀리하게 되자 金俊 등 崔氏家 家兵 지휘관들과 김준 편의 三別抄 무관들이 최의의 대몽정책에 대해 깊은 반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최의는 어디까지나 安慶公 王淐의 再入朝를 주장한 자신의 최측근 심복 宣仁烈․柳能 등 소극파 화의론자에 의지하여 대몽정책을 실행하였다. 그러므로 太子親朝를 주장하며 대몽전쟁을 영원히 종식시키자는 입장에 서 있던 崔滋․金寶鼎 등 적극파 화의론자들의 불만을 낳았다. 최의정권을 근근이 지탱시키고 있던 선인열과 유능이 건재하는 한 최의정권은 어떤 식으로든 유지될 것이 분명하였다.
    최의정권의 임시적 대몽강화 체결은 최씨정권의 연장책일 뿐 대몽전쟁을 영원히 종식시킨다거나 몽고 황제의 고려에 대한 의심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궁극적 방안이 되지 못했다. 또한 대몽화의론을 어쩔 수 없이 수용한 최의는 대몽화의론자들을 대몽외교에 폭넓게 활용했지만 賢士로 표현된 그들을 예우하지도 존경하지도 않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의정권에서 소외된 대몽화의론자들은 최의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었던 柳璥과 결탁하였다. 유경과 대몽화의론자들은 최의정권을 붕괴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국왕 高宗을 끌어들였고 王政復古(復政于王)의 명분을 대내외에 알렸다. 유경은 宋吉儒流配事件 이후 사전에 김준과 연결되어 있었다. 유경을 필두로 한 講和派는 김준 휘하의 최씨가 家兵, 朴希實․李延紹․林衍의 神義軍, 趙文柱․吳壽山․徐均漢․白永貞 등 夜別抄指諭, 朴成梓 휘하의 鷹揚軍과 결탁하여 反崔竩連帶勢力을 형성하였다. 최의정권에서 소외된 대다수 대몽화의론자와 항몽론자는 유경이라는 인물을 접점으로 하여 역설적으로 모순된 결합을 일정기간 유지하였으며 戊午政變을 일으켜 최의정권을 몰락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최의정권을 붕괴시키는데 한 축을 담당한 문신 대몽화의론자들은 무오정변 직후 柳璥政權을 출범시켰다. 적어도 그 시점에 있어서 그들은 왕정복고, 실질적 대몽강화, 문신우위의 정치운영을 희구하면서 새로운 기대에 부풀게 되었다.

    영어초록

    Choi Yui(崔竩), the last ruler of Choi’s political power(崔氏政權), could not maintain the line of the weakened policy against Mongol than Choi Hang(崔沆) period’s. So he completely handed over the rights on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to Jechu(宰樞). Choi Yui accepted claim on peace negotiations towards Mongol, starting from the 44th year September of the king Gojong(高宗). Those who insisted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divided into activists and passivists regarding the problem of Taejachinjo(太子親朝) and returning to the capital, but they all agreed in the fact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should be held.
    In Choi Yui’s rule, Civilians who insisted negotiation policy towards Mongol were Kim Soo Gang(金守剛) and Choi Ja(崔滋), etc. And military official Kim Bo Jung(金寶鼎) agreed to their opinion. Especially Kim Soo Gang dramatically succeeded in making Mongol army withdraw by performing the memorialization diplomacy(表文外交) towards Mongol emperor. Civilians claiming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grew as strong political power through peace negotiations diplomacy. Even military ruler, Choi Yui could not control them on his own authority.
    In 1257, Choi Yui could not carry out war against Mongol, and tried to maintain peace negotiations policy relying on some devoted servants of the passivists regarding the problem of Taejachinjo , Sun In Yeol(宣仁烈), Yu Neung(柳能). The activist regarding the problem of Taejachinjo, Choi Ja and Kim Bo Jung, etc. complained on Choi Yui’s diplomacy policy. On the other hand, Choi Yui’s change in the diplomacy policy towards Mongol, made military officers claiming battles against Mongol discontented.
    Peace negotiation faction(講和派) supported DaeSaSung(大司成) Yu Kyung(柳璥) who was estranged from Choi Yui. And they placed him at the head. Yu Kyung won commanders of House Troops(家兵), Divine Righteous Troops(神義軍), Night Patrols(夜別抄), and UngYang Troops(鷹揚軍) over to his side. He allied with those who insisted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who were also discontented with Choi Yui political power’s narrow minded policy and failed economical policy, forming an anti-Choi Yui alliance force(反崔竩連帶勢力). The anti-Choi Yui alliance force eventually raised Muojungbyun(戊午政變) in the 45th year March of the king Gojong. And it destroyed the Choi family who dominated for 62 years, 4 generations. As the result, though formal, peace negotiation faction came true returning the political power to the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