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몽금도전> 다시 보기 (How to Read Monggeumdo-Jeon: Reconsidering the Conception of “Fantastic” and “Romantic”)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04
32P 미리보기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 &lt;몽금도전&gt; 다시 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43호 / 79 ~ 110페이지
    · 저자명 : 신호림

    초록

    본고는 1916년 6월 14일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된 <심청전(沈淸傳)>(이하 <몽금도전>)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개작 의식의 한계를 비현실성과 낭만성의 경계에서 찾고자 했다. 이는 “쳥컨ᄃᆡ 사리에 명ᄇᆡᆨᄒᆞᆫ 독쟈졔군의 한번 비평ᄒᆞ여 보기를 바라”던 <몽금도전>의 개작자에 대한 필자의 답변이기도 하다.
    <몽금도전>은 기존 심청전에 산재되어 있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합리적 서사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작된 서사를 보면 개작자의 의도나 취지와 모순되는 지점이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서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풍속에 의지한다든가, 우연의 연쇄로 서사를 직조한다든가, 앞뒤 맥락이 모순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든가 등등, 합리적인 개작 또는 과학적 근거에 의한 개작을 지향했던 움직임과는 다른 서사적 면모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 것은 <몽금도전>의 개작자가 비판했던 비현실적‧환상적 요소들이 사실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고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낭만적 태도 또는 성향과 연결된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사적 합리성‧개연성의 측면에서도, 주제 구현의 방식에서도 그 한계점은 명백히 드러난다.
    <몽금도전>이 개작 과정에서 보여주는 한계는 심청전이 자아내는 환상성이 작품을 구축하는 주요한 틀거리임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20세기 초 시대적 전환기에, 그 시대에 적합한 고전의 상(像)을 제시하고자 했던 <몽금도전>의 시도는 오히려 중세적 창작방식의 산물로만 인식될 수 있었던 환상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어준다. 고전에서 환상성을 제거한다고 해도 이것이 곧 현실성이 도드라지는 텍스트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점, 그런 환상성이 비현실적 요소에 기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핍진하게 현실을 그려낸다는 점 등을 역설적으로 <몽금도전>에서 읽어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work aims to determine how Monggeumdo-Jeon recreated the narrative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 Simchong-Jeon in the 20th century. The writer of Monggeumdo-Jeon reportedly attempted to adapt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for rationality and reality. Such an adaptation coincided with the specific agenda proposed by the intelligentsia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narrative itself of Monggeumdo-Jeon failed to contain the original intentions and aims of the writer; it is criticized as being riddled with errors and inconsistencies. Simchong-Jeon was based on elements of fantas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events in the physical world. This reference is deemed “romantic,” and this concept is seen as being not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reality.” In Simchong-Jeon, these two terms show the perspective of distance from the actual world. Simchong-Jeon, owing to the concept of “romantic perspective” delivers the theme to readers and thus serves as the canon of such theme.
    In conclusion, Monggeumdo-Jeon failed to recreate the narrative of Simchong-Jeon. This finding is recognized when the literal factors of fantasy are elim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