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철학의 비존재와 비인식의 관계__『니야야빈두』 「위자비량」과 다르못타라의 주석을 중심으로__ (The Relatedness between abhāva and anupalabdhi in Svārthānumānaparicchedaḥ of Nyāyabindu and Dharmottara’s ṭīkā)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08
37P 미리보기
불교철학의 비존재와 비인식의 관계__『니야야빈두』 「위자비량」과 다르못타라의 주석을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3호 / 219 ~ 255페이지
    · 저자명 : 박기열

    초록

    다르마키르티의 비인식(anupalabdhi)을 『니야야빈두』 제2장 「爲自比量」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여기서의 비인식이란 디그나가의 ‘증인의 삼상’을 갖춘 바른 증인의 하나로 취급되는 개념이다. 즉 비인식은 이유 명제의 능증으로서 주장 명제의 소증(=비존재)과 불가분리의 수반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비존재와 비인식이란 본질적으로 어떤 것에 대한 두 가지 다른 표현에 불과하다.
    Ⅱ에서는 본고의 주제의 이해를 위한 기반 이론으로서 ‘존재와 인식’에 관한 불교적 관점을 ‘법(dharma)과 유법(dharmin)’ ‘존재(bhāva)와 자성(svabhāva)’ 등의 관계 속에서 조명한다. Ⅲ에서는 다르마키르티의 증인의 삼상의 특징과 세 종류의 증인, 증상과 증상보유자의 관계를 ‘결과의 증인’과 ‘자성의 증인’으로 나누어서 고찰하는 것에 의해서 능증과 소증의 관계를 분명히 한다. Ⅳ에서는 비존재와 비인식을 NBṬ 2.13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Ⅴ에서는 NB 2.32-42까지의 비인식의 용례(=논증식)들을 분석하고, 비존재와 비인식의 관계를 종합 검토한다.
    본고는 불교논리학이 비존재를 추리의 일종으로 분류하는 이유를 비인식의 능증을 통해서 명확히 하고자 한다. 또한 불교논리학에 있어 ‘자성의 증인(svabhāvahetu)’에 의한 능증과 소증의 ‘동일성(tādātmya)’의 논리가 불교인식론에 있어 ‘자기인식(svasamvitti)’에 상당할 수 있기에 두 개념의 통섭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on anupalabdhi. It is the conception to be treated as a kind of three hetu-s(trairūpya) asserted by Dharmakīrti. Anupalabdhi is sādhana as well in the hetu premise and it is in the avinābhāva relatedness with abhāva that is sādhya in the pakṣa premise. Therefore. anupalabdhi and abhāva do not apply separately to the different things, but both of all reflect the being supported by two expressions as following each role in the syllogism completed by Dignāga.
    Firstly, the basic theories about the relatedness bhāva and upalabdhi are explained from the view of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 in the chapter two of the paper, considering the key words such as dharma and dharmin, bhāva and svabhāva as introduction for abhāva and anupalabdhi.
    The main purpose of the part three in the research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of Dharmakīrti’s logic about trairūpya, trividham and the relation between sādhana and sādhya. Especially how svabhāvahetu is more essential than kāryahetu, pointing out the cross spot between the conception of bhāva and of svabhāva as each role of sādhya and sādhana.
    In the chapter four, the topics are unfolded about abhāva, anupalabudhi, and their relatedness in the syllogism. On the other hand, NB 2.13 and Dharmottara’s ṭīkā are contemplated. They explain well about how anupalabdhi(noncognition) is possible to experience directly(dṛśya) against the nonexistence(abhāva). In the chapter five, the eleven types of anupalabdhi-s described from NB 2.32 to 2.42 are analyzed by the five fields: sādhana, shādhya, tadutpatti or tādātmya, applying in each sūtra, and sūtra no.
    The paper may tell the reason specifically that Dharmakīrti makes anupalabdhi to be under anumāna, in contrast that it is classified as the independent means of cognition(pramāṇa) by one of his debate partners, Kumārila. Moreover, the logic of tādātmya by svabhāvahetu in Buddhist inference(anumāna) theory may have the location as same as the conception of self-awareness(svasamvitti) in Buddhist perception(pratyakṣa) theory(epistemology). If so, the advanced research in terms of how tādātmya can be connected with svasamvitti would be repa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