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주 덕진연못의 聖池 認識과 관련 儀禮 (The pond of Deokjin Park in Jeonju as a sacred place of and its related ritual)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05
42P 미리보기
전주 덕진연못의 聖池 認識과 관련 儀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권 / 1호 / 477 ~ 518페이지
    · 저자명 : 송화섭

    초록

    전주 덕진연못의 역사는 연못의 바닥에서 물이 솟아나오기 시작하면서시작되었다. 덕진연못 일대는 지하수가 자연 분출하는 지질여건을 갖고 있었고, 덕진연못도 그 범주 속에 있다. 샘물처럼 지하수가 솟아나서 못을 이루는 덕진못을 옛사람들은 매우 신비롭게 생각을 하였고 그곳에 영적인 기운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왔다. 그 물속에 깃든 영적인 기운을 물을 관장하는 용이라 믿고, 풍농기원을 기원하는 농민들은 기우제를 지내왔다. 이러한기우제의 역사는 고려시대 李奎報가 전주용왕에게 祈雨祭를 지내는 祈願文이라는 글에서 하늘못(天之潭)의 神龍에게 비를 빌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1450년대에 徐居正은 덕진못에 비를 내려주는 용이 거처한다고 沛鄕十詠에 기술하여 예부터 덕진연못을 신성시하는 시문들을 많이 남겼다. 전주천의 하상변화로 건지산과 가련산 사이의 지세가 공결해지자 1525년에 전라도 관찰사 홍경림과 전주토호들이 덕진제방을 축조해야 한다고 청원하여덕진제방을 쌓아 오늘날과 같은 연못이 되었다. 고려시대부터 덕진연못은용왕에게 기우제를 지내는 聖池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기우제는 불교문화와 융합하여 4월초파일(음4.8) 민간불교의례로 정착하면서 무속인 주도하였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金鍾正의『雲溪蔓稿』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렇듯이 전주용왕제는 천년의 역사를 이어왔으며, 그곳이 전주 덕진연못이었다. 조선후기의 전통을 이은 용화부인이 덕진연못에 용궁각을 짓고1970년대까지 지내올 정도로 전주 덕진연못은 聖池로서 전통의 명맥을 이어왔다. 덕진연못의 祈雨祭場은‘물탕거리’인데, 지금도 단오날에는 덕진연못 물탕거리에서 여인들이 반나체로 물맞이를 하는 관행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the pond of Deokjin Park started when people found a spring on the bottom of the pond which had ground water flowing under the park.
    The pond, a spring, gave a mysterious image to people and they thought it had a holly spirit, a dragon, who controlled water and they held a ritual praying for rain for rich harvest.
    The ritual was recorded in the document written by Kyu Bo Lee, a writer in the Korea Dynasty, praying for rain, which described the ritual as a prayer to the dragon living in the heaven’s pond.
    Geo Jung Seo, a writer living in the 1450s, wrote many poems which described the pond of Deokjin Park as a sacred place believing a dragon who controlled rain lived in it.
    The pond formed by the governer, Kyung Rim Hong and landed proprietors in 1525 when Jeonjucheon, a river, changed its flow and a space which the river had flown formed between Mt. Geonji and Mt. Gareon by building a dam there.
    The pond of Deokjin Park was a sacred place which a ritual praying to the dragon for rain was held in Korea Dynasty and according to Ungyemango written by Jong Jung Kim, the ritual began to mix with Buddhism and became a custom held on the birth day of Budda and a shaman leaded it in Chosun Dynasty.
    The ritual held at the pond of Deokjin Park has one thousand years of history.
    A hose for the dragon was built by madam Young Hwa liv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ritual had been held till the 1970s on “the road of water”where women still get together and wash their body on the day of Dano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