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화 된 이성과 사유하는 몸 - 헤겔(G. W. F. Hegel) 사변철학에 대한 포이어바흐(L. Feuerbach)의 비판과 그의 ‘감성적 유물론’을 중심으로- (Somatized Consciousness and Reasoning Body - Focusing on L. Feuerbach’s Criticism on G. W. F. Hegel’s Speculative Philosophy and His ‘Sensualistic Materialism’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12
43P 미리보기
신체화 된 이성과 사유하는 몸 - 헤겔(G. W. F. Hegel) 사변철학에 대한 포이어바흐(L. Feuerbach)의 비판과 그의 ‘감성적 유물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44호 / 171 ~ 213페이지
    · 저자명 : 김현

    초록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논의를 담고 있다. 첫째, 1839년 출간된 포이어바흐의 「헤겔철학 비판을 위하여」를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그의 여러 텍스트들에서 다뤄지고 있는 헤겔 사변철학에 대한 비판을 소개한다. 헤겔의 『정신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istes)과 『논리학』(Wissenschaft der Logik)이 포이어바흐의 헤겔 비판을 위한 주요 텍스트로 설정되며, 특히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을 철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자리 잡은 『정신현상학』의 ‘감성적 확신’의 장과 『논리학』의 단초 즉 시원의 개념이 비판적으로 검토된다. 포이어바흐는 헤겔 철학에서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이 단지 ‘사유 내에서의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을 입증한 것일 뿐임을 주장한다. 추상적인 존재와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존재는 구별되어야 하며, 사유, 이성, 정신으로부터 감각적이고 물질적이며 구체적인 제 존재자를 도출할 수 없다는 것이 헤겔에 대한 포이어바흐 비판의 핵심 테제다(2). 이상의 논의를 전제로 하여 이 글의 3장은 감성과 이성에 대한 포이어바흐의 새로운 접근법이 제시된다. 포이어바흐는 기계적 유물론자들이 그런 것처럼, 인간을 거대한 자연법칙의 부품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 주체의 정신적 활동성을 우위에 두면서 자연을 맹목적으로 폄하하고, 자연을 개념화된 자연, 이념의 타자에 결박함으로써 자연의 구체를 증발시켜버린 사변철학에 동조하지도 않는다. 그에 의하면 자연은 처음부터 이성이고, 이성은 처음부터 자연이다. 이 양자의 통일을 가장 명확하게 적시하는 것이 바로 몸이다. 따라서 포이어바흐의 철학에서 몸은 사유와 존재, 정신과 물질, 주관과 객관, 인간과 자연의 동근원성을 입증하는 대표성을 갖는다. 감각하는 이성으로서 몸에 대한 포이어바흐의 논의를 분석․소개하는 것이 3장의 주요 내용이다(3). 이 글의 4장은 포이어바흐가 기획한 감성의 공동체를 ‘유적존재’(Gattungswesen) 및 ‘새로운 철학’과 같은 주요 개념들과 관련지어 고찰한다. 감성적 유물론에 대한 일련의 평가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처럼 포이어바흐는 인간의 현존을 사회․경제적 구조 연관의 총체로 파악하지도 못했고, 나와 타자의 변증법적 운동으로부터 어떻게 상호인정에 근거한 인륜적 국가에 이르게 되는가를 체계적으로 서술하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이 글은 포이어바흐가 나와 너를 매개하는 사랑과 우정의 감정을 인간적 연대의 뿌리로 발굴함으로써 인간의 제 감정을 공동체 구성의 철학적 토대이자 원리로 규정한다는 점에 주목하려 한다. 그의 철학에서 사랑과 우정이라는 인간의 감정은 이 새로운 유토피아의 중핵으로 자리 잡는다. 포이어바흐의 감성적 유물론 및 그의 공동체적 기획이 오늘날 어떤 이론적․실천적 현재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 4장의 내용이다(4). 끝으로 포이어바흐의 감성적 유물론의 의의를 간략히 정리한다(5).

    영어초록

    This paper contains the following discussions. First, the start of discussion begins with Feuerbach’s ‘Critique of Hegel’ published in 1839 and introduces the criticisms against Hegel’s speculative philosophy dealt with in many of his texts.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Phänomenologie des Geistes) and ‘Science of Logic’ (Wissenschaft der Logik) are set as the main texts for Feuerbach’s criticism of Hegel and the chapter on ‘Sense-Certainty’ in Phenomenology of Spirit and the preface of Science of Logic, or the concept of the beginning, to philosophically prove the homogeneity of reason and existence. Feuerbach claims that in Hegel’s philosophy, the homogeneity of reason and existence simply proves the ‘homogeneity of reason and existence within a reason’. The core thesis of Feuerbach’s criticism against Hegel is that abstract existence and a concrete and sensible existence must be differentiated and that a sensible, material and concrete existence cannot be deduced from reason, consciousness or spirit (2).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part 3 of this suggests the new approach of Feuerbach’s on sensitivity and consciousness. Unlike other mechanical materialists, Feuerbach does not view humans as parts of a massive natural rule. But despite this, he does not place the mental activities of humans to be supreme to blindling denigrate nature nor does he agree to speculative philosophy that evaporates the existence of nature by binding nature as a conceptualized nature or other ideologies. According to him, nature is consciousness from the beginning and consciousness was nature from the beginning. What most clearly explicates the unity of these two is the human body. Therefore, in Feuerbach’s philosophy, the body proves and represents that reason and existence, mind and material,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human and nature share the same roots and origins. The main contents of the third chapter are analyses and introduction of Feuerbach’s discussion on the body as a sensible consciousness (3). Chapter 4 examines the community of senses designed by Feuerbach in association with major concepts such as ‘species-being’ and ‘new philosophy’. Just like how a series of assessments on sensitive materialism share, Feuerbach was unable to holistically identify the current existence of humans in association with the socio-economic structure, nor does he systematically explain how a ethical nation is achieved based on mutual recognition from the dialectical movements of self and others. Even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Feuerbach discovers the emotions of love and friendship that mediates you and me from the roots of humanistic solidarity to prescribe it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principle for human emotions in the composition of a community. In his philosophy, human emotions of love and friendship are the nucleus for this new utopia. Chapter 4 investigates which of today’s theoretical and practical present state can be guaranteed by Feuerbach’s sensualistic materialism and his communal planning (4). Lastly, the significance of Feuerbach’s sensualistic materialism is briefly summed up (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