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 몸공부법의 교육적 재음미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立志章)>과 <지신장(持身章)>을 중심으로 (Educational Reexamination of Gongfu Method of Mom viewed through Yulgok - based Chapter of Ibji and Chapter of Jisin in Gyeogmongyogyeo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12
22P 미리보기
율곡 몸공부법의 교육적 재음미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lt;입지장(立志章)&gt;과 &lt;지신장(持身章)&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3권 / 7 ~ 28페이지
    · 저자명 : 서명석

    초록

    율곡은 그이 나이 42세인 1577년 어린 아이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재로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책을 편찬했다. 율곡은 그가 그리려는 성학(聖學)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설계도를 이 책안에 구상해 두었다. 이 책 안에서 <입지장>과 <지신장>은 율곡이 생각하는 사유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장들이다. 이 글은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과 <지신장>을 중심으로 거기서 율곡이 보여주는 학문과 공부를 입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들이 오늘날 어떤 메시지를 갖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즉 율곡이 그의 사유 구도 속에서 생각하는 학문과 공부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그가 어떤 방법을 구축해 놓았는가를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적이다.
    율곡은 오늘날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배움[學]을 설명한다. 그가 생각하는 배움은 성인됨에 있다.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배우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입지를 율곡은 강조한다. 이런 배움의 성격은 매우 존재론적이다. 그리고 그는 배움과 더불어 물음[問]도 매우 강조하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를 성학의 축 안에서 묻는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배움이 율곡에게는 진정한 배움이다. 이러한 배움과 물음이 하나로 묶여 학문을 구성한다. 이런 점은 오늘날 특정 분야의 체계적인 지식 등을 탐구하는 것을 학문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매우 다르다. 더 나아가서 그는 그가 그리는 학문을 위한 공부의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그것들이 이른바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라는 몸공부법이다. 이 공부법은 몸과 마음을 잘 규율하고 조절하여 인간을 아름답고 훌륭한 존재로 만들어가는 빌둥인 것이다.
    이렇게 율곡이 성학, 학문, 입지, 구용과 구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했던 그의 사유는 오늘날 율곡의 독자적인 인문 프로그램이었다. 또한 인간의 본성도 인간의 후천적인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율곡이 알려준다. 즉 구용과 구사를 통한 몸공부는 습관이 제2의 본성이 된다는 점을 율곡이 일깨워 주고 있다. 오늘날 자신의 세속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것이 공부의 유일한 목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율곡은 존재론적 공부의 위상과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year 1577, at the age of 42, Yulgok published Gyeogmongyogyeol, in which he formulates a practical map of design for sage learning.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in the book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Yulgok’s form of thinking. This work systematically reviews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in Gyeogmongyogyeol, focusing on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and inquires into the messages that they bring for the modern day.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and reflect upon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within Yulgok’s structure of thinking and the methods he constructed to realize them concretely.
    Yulgok explains learning very differently from how we do in the present day. He believes that learning lies in sagehood and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tha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to learn in order to become a sage. This kind of learning is very ontological in character. In addition to learning, he great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which consists of posing question such as ‘why must we learn?’, ‘what must we learn?’, ‘how must we learn?’ within the axis of sage learning. To Yulgok, true learning constitutes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se kinds of questions. This manner of learning and questioning consolidate to construct the idea of learning-questioning.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that inquires into the systematic knowledge of a particular sphere. Furthermore, he proposes a set of methods and programs of gongfu for learning-questioning. These are what is called the gongfu method of mom of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This gongfu method is the Bildung that regulates and controls the heart and mind to make man into a beautiful and excellent being.
    Today, the thinking that Yulgok sought to show through sage learning, learning-questioning,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is his original humanitas program. Additionally, he shows that even human nature may change through the postnatal effort of man. In other words, Yulgok enlightens us to the point that the gongfu of mom through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become habit that is second nature. Yulgok evokes the topology and importance of ontological gongfu for the modern man whose only purpose of gongfu in the present day is to actualize his secular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