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호자본주의 시대 마음의 오작동과 몸을 통한 치유가능성 - 성육신적 신학과 신앙감수성 - (Misfirings of the Mind in the Semiocapitalism and a Therapeutic Possibility through the Body : Incarnational Theology and Religious Sensibil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05
26P 미리보기
기호자본주의 시대 마음의 오작동과 몸을 통한 치유가능성 - 성육신적 신학과 신앙감수성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9호 / 693 ~ 718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초록

    오늘날에는 우리를 둘러싼 사회의 구조와 환경이 우리의 정신적 능력뿐 아니라, 역량을 발휘하는데 중대하고 심원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기호자본주의로의 진화는 접촉의 시대에서 접속의 시대로의 전이를 촉발하였다. 이로 인해 면대면 혹은 몸과 몸의 만남 대신 가상 네트워크를 통한 신경접속으로 만남의 의미가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만남이 일으키는 사회구조적 변화는 개인의 마음 구조에도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는 이런 지구적 네트워크 경제가 범지구적 억압의 조건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모두가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이 범지구적 해방의 조건과 동력이 될 수도 있다는 낙관론을 펴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이탈리아의 철학자 프랑코 베라르디는 이러한 시각들이 현재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접속의 시대에는 특히 ‘탈육체화’의 경향이 눈에 띄며, 이로 인해 여전히 생물학적 환경에 익숙한 몸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의 마음이 오작동을 일으키고, 정신적 질병과 같은 결함들이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치유적 대안은 오늘날의 기호자본주의적, 포스트휴먼적 사회구조 안에서 몸과 육체성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종교 안에서도 자연스럽게 몸에 대한 전통적 이해와 더불어 새로운 이해들을 동반한다. 그중에서도 기독교의 성육신적 신학은 몸을 통해 신앙적으로 행동하고, 몸과 더불어 충만하게 살아가는 존재, 그리고 기독교적 가치를 추구하는 몸적 존재로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육체성을 벗어던진(bodiless) 채로 접촉이 아닌 접속을 지향하는 시대에 여전히 몸을 기반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가 직면한 정신질환의 문제, 마음의 오작동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어서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우리의 뇌와 마음이 모두 우리의 몸, 즉 신체를 기반으로 생각하고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몸과 마음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해결하기 위해 기독교의 성육신적 신학과 신앙감수성을 통해 우리의 몸과 마음의 육체성에 대해 재성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soc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surrounding us today have very serious and critical impacts upon our mental abilities and capabilities. The evolution of capitalism into a form of semiocapitalism has turned the age of contact into that of connection. Along with it, the meaning of meeting has changed from face-to-face or body-to-body to neural connection via digital virtual networks. Commensurate with changes in our social relationships, the changes of our social structures have brought out the changes of the inner structure of personal mind.
    Antonio Negri and Michael Hardt is relatively optimistic about the potency of digital network and its impact upon human condition in that the global digital network can become the condition and stimulus for global liberation, while it clearly has functioned as the condition of the global oppression. However, Franco ‘Bifo’ Berardi criticizes them for their failure to notice the most radical aspect of the changes taking place in our contemporary world. In the so-called age of connection, disembodiment accelerates, and the mind working on the basis of our biological constitution is exposed to the high risk of mental diseases.
    Then, one may find some therapeutic alternatives in our bodily constitution even in this the semiocapitalistic and posthuman social structures today. In this context, religions needs to find new understandings of the body by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bodily meanings. Christian theology of incarnation pays attention to our bodily practice of faith and the sense of the integrated wholeness of being along with our bodily existence seeking for Christian values. Religious education in this context should lose its sight of bodily correspondence with nonhuman environments such as memory, tradition, smell, temperature, humidity and so on, because they can offer some chances for religious education in the so-called post-body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