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를 중심으로- (The Cultural- Ecological Reading on the 'Conatus'· 'Body'· 'Flesh'· 'Egg' -Focused on Spinoza's ‘Conatu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12
20P 미리보기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85권 / 21 ~ 40페이지
    · 저자명 : 성회경

    초록

    스피노자는 이름이 세 개다. 포르투갈 유대인 부모가 지어준 벤투(Bento), 유대인 공동체에 살면서 친구들이 불렀던 바루흐(Baruch) 그리고 24세 유대 교회에서 추방당한 후 스스로 붙인 이름 베네딕투스(Benedictus)이다. 그는 이 세 개의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정체성을 띠고 살다가 짧은 생을 마감한다. 그는 소수자 유대인으로서 다양한 정체성을 띠고 살았다. 소수자 중의 소수자의 생을 살았다. 소수자로서의 그의 삶이 그의 『에티카』 행간 행간에 녹아 있다. 본 글은 『에티카』에 함의되어 있는 그의 삶과 생각들을 문화생태학적으로 독해한다. 물론 스피노자는 문화 자체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에티카』에 당대 정치-문화적 패권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함의되어 있다. 특히 필자는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문화생태학적 독해를 시도한다. 본 글이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이유는 근대인이면서도 탈근대적 사유를 깊이 한 스피노자의 모습을 들여 다 보기 위해서이다. 그는 데카르트에 의해 가속화된 이분법적 경계짓기의 야만스러움을 ‘신즉자연’(deus siva natrura)의 일원론으로 고발한다. 스피노자는 그 시대의 문화패권주의의 철학적 기반이 된 이원론적 사유모델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사유한다. 필자는 타문화에 대한 정서적 편견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을 안내하는 스피노자를 문화생태학적 지점에서 새롭게 만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pinoza has three names. Bento built by Portuguese Jewish parents, Baruch called by friends of Jewish community, and Benetictus named himself after being expelled from a 24-year-old Jewish church. Although he lived a short life, he was as diverse as the three names. He lived with various identities as a minority Jew. He lived as minority among the minorities. His life as a minority is intermingled with his Ethica line. This article is a cultural-ecological reading of his life and ideas in Ethica. Of course, Spinoza does not comment specifically on culture itself. However, there i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olitical and cultural hegemony of the time in Ethica. In particular, I try to read cultural ecology based on Spinoza's concept of Conatus. The reason why this article attempts a cultural ecology approach is to take a deep look at Spinoza, who is both modern and post-modern. He accuses the barbarity of dichotomy accelerated by Descartes with monism of 'deus siva natrura'. Spinoza considers the dualistic model, which becam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ultural hegemony of the time, by converting it into an ecological paradigm. I look forward to meeting Spinoza from the cultural ecology perspective, who guide the path of freedom from emotional prejudice against other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