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individual drama therapy sessions for a participant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Focusing on Six-Piece Story-Making(6PM) by the paticipant and changes in her body percep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6
43P 미리보기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18호 / 1 ~ 43페이지
    · 저자명 : 현미자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트라우마 경험이 있고 주요 우울장애를 받은 참여자 A의 개인 연극치료 사례를 참여자의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작업은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1년 동안 주 1회 50분씩 총 45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개인 연극치료 42회, 가족 연극치료 3회(1회는 남편과 아들이 함께 참여한 가족 연극치료, 1회는 모자 연극치료, 1회는 부부 연극치료)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장기적 관찰과 그림과 가면 등의 투사 분석 그리고 참여자 면접을 통해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감각하지 못하는 몸’, ‘감각하는 몸’, ‘상상하는 몸’, ‘변화하는 몸’의 4단계를 경험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는 작업 시작 후 거의 6개월 동안 ‘감각하지 못하는 몸’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트라우마화된 몸의 특성으로 몸에 대한 부정적 감각을 갖고 있어 신체 감각을 느끼는 것이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다. A가 다시 안전하고 편안하게 감각을 회복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A가 ‘감각하는 몸’ 상태에서 ‘상상하는 몸’으로의 변화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 독립 후 가능해졌다. <콩쥐 팥쥐>이야기를 통한 팥쥐의 콩쥐 살해, 자기주장 훈련으로 A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였고 그로 인해 점차 ‘상상하는 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가족 연극치료를 통해 배우과 관객이 서로 되어주고 역할 바꾸기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상상하는 몸’에서 ‘변화하는 몸’으로 변화는 남편의 심리적 통제에서 벗어나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이루어졌다. ‘또 다른 나’ 가면 작업과 인생길을 피규어로 만들기, 에브리맨 작업을 통해 A는 자신의 인생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긍정적인 면도 바라보면서 통합적으로 삶을 바라보게 되었다.
    넷째, 종결 후 그린 몸 그림에서 A는 ‘하나가 된 것 같아요’라고 말함으로써 몸과 마음이 일치하는 상태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연극치료의 장점으로 몸을 통한 역할 입기와 변형을 통해 실제 삶에서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단일 사례이나 필요에 따라 가족 연극치료를 병행하고 참여자의 변화를 여섯조각이야기와 참여자가 그린 몸 그림을 통해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게 의의가 있다. 가족 연극치료가 A의 가장 주요 환경인 가족을 고려함으로써 변화에 변곡점이 되었다. 이는 개인 연극치료에서도 치료사는 언제나 참여자와 참여자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가족치료적 접근도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족치료 이론과 연극치료 실제 작업을 가족치료 이론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Paticipant A,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domestic violence and wa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focusing on changes in body perception following individual drama therapy. The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s a therapist, with a total of 45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50 minutes over the course of a year. Of these, 42 were individual drama therapy sessions, and 3 were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and son, 1 with the participant’s son, and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 by way of long-term observations, projective analysis such as drawings and mask makings, and one-on-one interviews. Participant A went through four stages of body perception: “a body that cannot sense,” “a body that senses,” “a body that imagines,” and “a body that chang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 A was unable to move beyond the stage of "the body that cannot sense" for almost six months after starting the therapy. This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raumatized people, who have a negative body image and find it threatening to experience physical sensations. It is necessary for A to undergo preliminary work to regain a sense of safety and comfort before being able to restore her sensory perception.
    Second, Participant A was able to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senses" to "the body that imagines" after achievi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Specifically, Participant A attaine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and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stage of "the body that imagines” through assertive trainings as well as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which involved the murder of Kongjwi by Patjwi. In addition, Participant A’s family members took on each other’s roles in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shifting from actor role to audience role—and gained understanding of one another.
    Third, the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imagines" to "the body that changes” occurred as Participant A broke free from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husband and started expressing heir own opinions. This transformation was facilitated through activities such as the "Another Me" mask making activities and creating the journey of her life using figurines, as well as the "Everyman" exercises. Through these activities, Participant A learned to think positively about her life rather than just view her life in a negative way and was able to take a balanced approach to her life.
    Fourth, during a body drawing exercise conducted at the end of drama therapy sessions, Participant A expressed “It feels like I’ve become one,” which demonstrated her transformation into a state where her body and mind were in harmony. This is one of the advantages drama therapy can offer since those taking part can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fe by engaging in role playing or role chaging activities using their own bod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 by conducting individual drama therapy for a participant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s well as employing family drama therapy when deemed necessary. It also provides visual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changes by using techniques such as the Six Part Stroy Making and drawings of participant’s own body. In particular, the family drama therapy, which focuses on the participant’s primary enviroment, is a major turing point for the participant’s change.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for the therapist in individual drama therapy to always consider the participant's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and take a family therapy approach when necessary. In future research, it is desirable to analyze various family therapy theories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from a family therapy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