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루스트 문학을 통해 본,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의 치유 효과 - ‘몸’의 기억을 중심으로 - (Effet de guérison dans le film vu à travers la littérature de Proust - axé sur la mémoire du corps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프루스트 문학을 통해 본, 영화 &lt;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gt;의 치유 효과 - ‘몸’의 기억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121권 / 25 ~ 58페이지
    · 저자명 : 김귀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뱅 쇼메 Sylvain Chomet 감독의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원제 Attila Marcel)>(2013)이 마르셀 프루스트 Marcel Proust의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와 그형식과 서사적 측면에서 매우 닮아있다는 점을 전제로 삼는다. 이를 바탕으로 작가 프루스트의 기억에 대한 탐색이, 영화의 주제인 ‘치유’의 과정에깊이 개입함을 고찰한다. 마들렌과 차를 매개로 촉발된 몸의 기억은, 마르셀과 폴을 사물적 세계에서 감각적 환상의 세계로 유입시키면서 무의미한일상과 트라우마에서 그들을 벗어나게 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한 감각의 매개체인 ‘정원’과 ‘음악’은, 문학 작품과 공통분모를 이룬다는 점에서 이 영화가 프루스트 문학의 본질에 다가가 있다. 프루스트에게 ‘정원’이 영감의원천이자 표현의 본질을 일깨우는 시적 공간이라면, 영화에서도 ‘정원’은폴의 기억이 식물의 생리 작용처럼 신체적 감각을 촉진하는 지각의 공간으로 등장한다. 한편 프루스트 문학에서 음악이 시간적 층위를 끊임없이재생하는 역할을 하듯이, 영화에서도 이는 반복과 생성의 서사적 모티브로활용된다. 따라서 음악이 서사의 변주와 변곡을 이끌어가는 공통점을 보이면서 주인공은 트라우마를 마침내 극복할 수 있다.
    치유의 과정에 개입하는 정원이나 음악은 몸이 체험한 시․공간적 기억이기도 하다. 즉 정원이라는 공간적 체험과 음악이라는 시간적 체험이 서로 얽혀 신체적 통일성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이는 메를로 퐁티의 주장과도 일치한다. 몸이 체험한 시각적 경험과 청각적 경험이 함축되어 지각 세계의 통일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계의 단절로부터 애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시각적 환상’이 필요하다. 이는 폴에게는 개구리 악단과협연하는 순간이고, 마르셀에게는 환등기에 비친 이미지로 다가온다. 또한몸이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근거가 되려면 언어적 측면이 중요하다는 것을, 폴이나 프루스트의 결론에서 알 수 있다. 언어는 우리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므로, 정원이나 음악의 감각적 체험이 이룬 것은, 환상이나 기억뿐만 아니라 언어를 되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리하여프루스트는 영화를 나열되고 속이는 이미지로 부정했지만, 쇼메 감독은 현실이 환상과 교감하는 깊이 있는 화면을 폴의 시각적 환상으로써 창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ans cette étude, nous considérons que le film <Attila Marcel>(2013) du réalisateur Sylvain Chomet, est étroitement lié au roman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de Marcel Proust en termes de forme et de narration. Partant de là, on considère que la quête de mémoire chez Proust, intervient profondément dans le processus de « guérison », sujet du film. La mémoire involontaire, qui se réssuscite à travers la Madeleine et le thé, se fait de manière à ce que le corps se souvienne et fonctionne au sens comme les organes botaniques. Cela donne à Paul et Proust l’opportunité d’échapper à la routine sans signification ou aux traumatismes. Le « jardin » et la « musique », qui sont le médiateur sensoriel comme Proust, forment un dénominateur commun avec ce film. Si « jardin » est l’espace poétique comme la source d’inspiration chez Proust, il se montre avec l'image d’un espace visuel riche en sensation dans ce film. Si le jardin apparaît comme un espace primordial qui fait étinceler les sens du corps, l’expérience acoustique de la musique joue un rôle dans la reproduction constante de la couche temporelle. Le motif narratif de la répétition et de la production, est activement utilisé dans le film comme le roman. Ainsi la musique induit la variation et l'inflexion du narratif en approchant au Paul la découverte de la vérité En conclusion, le jardin ou la musique dans le processus de guérison, incarne l’unité corporelle à travers les mémoires temporelles et spatiales vécues par le corps. Il est conforme à l’affirmation de Merleau-Ponty selon laquelle l’expérience spatiale du jardin et l’expérience temporelle de la musique, sont un moyens de communiquer avec le monde. Par conséquent, les expériences visuelles et auditives sont impliquées pour déterminer l’unité du monde perceptuel. Bien que le corps soit la base de notre communication avec le monde, nous constatons que retrouver le langage est important pour communiquer, donc ce qu’une expérience sensorielle du jardin ou de la musique, a réalisé n’est pas seulement une image ou une mémoire, mais aussi un processus de retrouver le langage. Cependant, pour arriver d’une rupture des relations avec le monde au point d’attachement, il faut passer « illusion d’optique » qui deviendra la force motrice. C’est le moment où Paul collabore avec ‘le groupe de grenouilles’, et Marcel est aussi l'image reflétée par kaléidoscope. Contrairement à Proust, qui a nié le film comme une image trompeuse et défilée, le réalisateur Chomet veut créer une image en profondeur avec l’illusion d’optique de Paul que la réalité interagit avec la fantaisi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