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염’된 공간과 몸 만들기: 콜센터의 노동통제 및 여성흡연자의 낙인 형성 과정 (Making a Polluted Space and Body: Labor Control in a Call Center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Stigma of Female Smoking)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07
43P 미리보기
‘오염’된 공간과 몸 만들기: 콜센터의 노동통제 및 여성흡연자의 낙인 형성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48권 / 2호 / 45 ~ 87페이지
    · 저자명 : 김관욱

    초록

    본 연구는 여성상담사가 콜센터에서 일과 흡연을 중심으로 경험하는 몸에 대한 낙인의 경로를 추적하고자 한다. 특히 왜 여성상담사가 일하는 콜센터‘만’ 여성흡연에 대한 한국 사회의 금기가 해체되었는지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콜센터는 상담사들 사이에서 실제로 ‘흡연천국’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상대적으로 낙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게 흡연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된 콜센터 흡연구역은 기업의 이미지 손상을 우려해 철저히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단되어 있었고, 제한된 시간(4분 이내) 내에 흡연실 이용을 마쳐야 했다. 또한 흡연을 위한 자리 이석 상황은 철저한 물리적·전자적 감시체계하에 놓여 있었다. 이런 제한된 조건 속에서도 콜센터가 흡연구역을 운영하는 이유는, 첫째 기본적으로 높은 흡연율을 보이는 상담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였으며(가까운 흡연구역), 둘째는 흡연 허용이 업무능률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였다. ; 한편 여성상담사 역시 흡연을 감정조절, 사교, 휴식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다. 생계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담사들은 실제로 흡연으로부터 많은 위안을 받고 있었다. 물론 상담사에 따라 흡연을 부끄럽게 생각하기도, 반대로 건강상의 해로움에 대해 거부하거나 회피하기도 하는 등 흡연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공통적으로 ‘2세의 건강’ 앞에서는 자신의 흡연 사실에 대해 깊은 자괴감에 빠지곤 했다. 이렇듯 여성상담사는 콜센터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흡연을 지속함으로써 자기위안과 자괴감의 순환적 구조에 빠지게 되었다. 그 결과 흡연여성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이들의 몸을 통해 재생산되었고 콜센터는 이를 위한 훌륭한 배지가 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athway of stigma on the female body, among workers in a call center; it entails the exploration of both labor and smoking. I especially seek to the reason why the taboo attached to women’s smoking in Korea is eliminated only in the setting of a call center. The call center’s female workers seem relatively free to smoke without any attribution of social blame. However, the smoking area in the call center is thoroughly hidden from outside and the workers must finish their smoking breaks within 4 minutes. Furthermore, they are always under strict physical and electronic surveillance whenever they leave their seats in the office. The call center intentionally has been managing the female smoking area, since the company hopes to effectively control female workers who seem not to stop smoking; furthermore, the manager already has experienced the benefit of allowing smoking breaks freely. ; Meanwhile, female workers themselves get benefits from smoking, as it provides stress relief, an opportunity for social gathering, and a break. The workers find their consolation in smoking since a majority of them do not have any alternative jobs to make ends meet, other than the work provided by the call center. Although the individual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with regard to their smoking behaviors are very diverse, as future mothers they seem to easily express a sense of shame when they worry about the ill effects of smoking on their future babies. While working in the call center and continuing the smoking behavior, they repeat the vicious cycles between solace and shame. As a result, the stigma on women’s smoking is reproduced through the female worker’s body in the fertile soil of call ce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