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주얼사회, 청소년의 몸 정체감을 형성하는 기독교 문화화 교육의 제안 (Christian enculturation to fashion the youth’s body-identity in the Visual Socie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6
27P 미리보기
비주얼사회, 청소년의 몸 정체감을 형성하는 기독교 문화화 교육의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4권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고수진

    초록

    청소년기는 성장급등현상을 경험한다. 급격한 신체적 성장은 변화하는 몸에 대한 새로운 적응과 함께 자기 몸에 대한 기준과 이미지를 정립하는 ‘신체상 형성’ 혹은 ‘몸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제를 부여한다. 그러나 오늘날 청소년의 몸 정체감 형성은 점차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근대 이후 사회는 풍요롭지만, 다양한 위협들이 존재하는 위험사회가 되었다. 전통으로부터 탈피하면서 모든 것이 개인의 선택과 책임 부담이 된 사회에서 잠재적 위협을 분류하고, 대응하는 것 역시 개인의 몫이다. 예측할 수 없는 통제 불능의 위험은 몸을 보존, 관리함으로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는 신념을 낳게 되었고 ‘몸’이 개인의 삶을 구축하는 토대가 되었다. 몸이 불확실성, 불연속성, 전통 탈피 등 위기 요인들을 감내할 확고한 기반으로 믿어진 것이다. 그 결과 개인의 정체감을 표현하던 몸은 반대로, 정체감의 근원지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미디어, 소비산업의 발달은 시각화된 정체감을 요구하면서, 보기 좋은 몸을 실시간으로 전시할 것을 요청한다. 소셜 미디어는 몸에 대한 의식을 증폭, 강화시키면서 청소년들로 하여금 보기 좋은 몸을 통하여, 자신의 유능함과 성실함을 증명한다면 미래가 보장될 것이라고 약속한다. 그러나 몸에 대한 시각적 기능성, 건강의 절대화, 육체의 물신화로 표방되는 미디어-소비사회의 관점은 몸의 비현실화, 열등감 조성, 몸의 비인격화라는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 몸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실존적, 자연적 측면을 넘어서는 위험 요인들을 내포하고 있다. 인간을 영적, 형이상학적 존재로 해석하는 영지주의, 관념주의 철학의 영향을 오랫동안 받으면서, 기독교는 인간을 물질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진화론, 자연과학과 대립하여 왔다. 물론 형이상학적이고 이원론적인 철학도 현상적이고 일원론적인 과학도 인간을 통합적으로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감각적, 물질적 세계, 몸에 대한 사고와 관심을 방치한 결과, 몸을 사회적 구성물로 보는 관점들이 소비사회 욕구와 의학 발달과 맞물리면서 종교 대신 몸을 지배하고 통제하게 되었다. 몸에 대한 관심의 결여가 몸의 세속화를 초래한 것이다. 인간에 대한 통합적 해석을 시도한 아놀드 게엘렌(Arnold Gehlen)의 철학적 인간론과 피에르 테이야르 드 샤르뎅(Pierre Teilhard de Chardin)의 진화-신학적 인간론에서 세 가지를 요점을 발견할 수 있다. 육체의 물질성에 대한 존중, 문화를 통한 행동과 삶의 도야, 연합을 지향하는 정신-영적 존재의 성화이다. 인간의 몸은 하나님의 형상이며 인격의 일부로서, 문화와 교육을 통하여 인격체로 빚어져 간다. 따라서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반복적으로 전승을 익히고 전달하는 문화화 교육이 몸 정체감을 형성하는데 적합할 것이다. 예배는 온몸이 하나님의 형상 곧 인격체이고, 성전임을 인식케 하나 예술적이고 심미적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예전의 축제성-놀이적 요소-이 회복되어야 한다. 축제성은 청소년기 몸의 불균형과 긴장을 해소하고, 몸의 경험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서 몸 그 자체로 하나님의 선물임을 알게 한다. 마지막으로 예전은 몸의 경계를 초월하여 다른 이들과 연합하는 초월성을 갖는다. 그 이유는 예배에서 반복, 구현되는 그리스도의 희생적 이야기가 자기 몸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이기적 욕망과 관심을 포기하고 더 큰 몸, 공동체, 자연과 세계, 우주와 연합하도록 탈중심의 서사를 구현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독교 문화 교육은 탈인격화된 몸이 하나의 인격체로서 수용되도록 인도할 뿐 아니라, 무의식적 성향과 욕망을 형성함으로서 몸을 인격으로 도야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 연구에는 다양한 가능성과 한계가 존재하나, 청소년의 몸에 대한 연구와 예배의 개혁을 시도하는데 공헌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fashion youth’s body-identity whole and well in the visual society. It is a significant developmental task for the youth to adapt to radical growth and then to form an individual body identity. But this makes the youth feel hard in many aspects. Since this society had detached from the traditions, individual body has been reconizing a confirmed foundation to build individual identity by most of people. And more, visual culture and sexuality in part of eroticism in the media-consumer society drives the youth to display their body as an idealistic model on SNS. Because of these, forming a body-identity is the most challenging task for the youth, as comparing with the past’s thing. Media-consumer’s visual society has an unrealistic expectation, and it enforces youths to make their body artificially, whatever it comes out good or bad results.
    These request Christian Education to research an interpretation for the human body and stimulate to suggest a very qualified education the youth to form youth’s proper body-identity in this society. Christian theology affected by a dualism of the Gnosticism and Idealism has been conflicted with a monism of the Natural science. In the meantime, a body of human has been controlled not by both of two opposite sides but by the media-consumer’s visual society. If the youth follow an idealism of the society, they would feel their body is always improper and dehumanized. Thus, this study suggests a philosophical human theory of Arnold Gehlen and evolution-theological human theory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They insist on respecting a corporal materiality, on cultivating an instinct of the body under the culture- tradition, education, religion-and on growing through communion with others and with the Christ. Based on investigating about studies for human body, this study discovered Christian Enculturation would fashion the youth’s body-identity by Christian rites. C Ellis Nelson addresses when people join in the repeated rites, they can form habit, identity and life style as receiving values, attitude, memory and behavior mood to the world. Many people just have ignored repeated rites, worship and daily work’s forming and transforming power for the human desire. However, Christian rites-worship service, communion service, baptism and initiation-gives a view point individuals to see their body as a personality-God’s Image. Therefore,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suggests recovering cultural practice in a worship service for the youth. Using the body-language like as dance, gesture, facial expression, acting can vitalize the service. Jesus Christ’s sacrificed body makes the youth to discard their narcissistic control for their body and persuades them to connect to others and to God through the way of sense, emotion and imagination. This study takes such this issue into account based on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es. Although this study has disadvantages, it could encourage study how to fashion God’s people and how to form and transform diverse worship service for the yo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