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코철학의 전기와 후기에 있어서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Une comparaision sur les compréhensions de notre corps chez la première philosophie et chez la dernière philosophie de Foucaul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9
26P 미리보기
푸코철학의 전기와 후기에 있어서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8호 / 251 ~ 276페이지
    · 저자명 : 홍경실

    초록

    본고는 푸코의 철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
    에 푸코가 우리의 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고찰한다.
    전기철학에서는 기존의 근대 주체철학에서의 그릇된 주체 이해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탈주체화와 주체의 희박화에 관한 논의가 두드러진다.
    이때 우리의 몸은 주체와 권력 간의 상관관계 속에서 단지 권력의 작
    용점으로서만 집중적으로 조명된다. 즉, 푸코는 역사적 자료들을 동원
    하는 고고학과 계보학을 방법론으로 탈주체론을 주장하면서 우리의 몸
    이 어떻게 권력에 연루되어왔는지를 고증한다. 권력에 연루되어진 주체
    는 결코 선험적 토대일 수 없으며 그것은 우리의 몸을 통하여 그 역사
    적인 상대성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후기철학에서 우리의 몸은 성을 중심으로 진정한 주체화 과정
    이 모색되는 거점이자 저항의 시발점으로서 부각된다. 그래서 우리의
    몸은 전기철학에서처럼. 역사적이고 고증학적으로 고찰되지 않고, 윤리적이고 미학적인 새로운 존재론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조명되기에 이른
    다. 그래서 우리는 푸코의 철학이 그 전기를 통하여 서구 근대의 주체
    철학을 폐기시키면서도 후기에 이르러서는 역설적으로 삶과 실천에 연루
    되는 참된 주체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주체화의 대장정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인터넷의 상용화로 인하여 말초 자극적인 감각과 관능적인 자극
    이 몸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유리(遊離)된 사이버세계를 난무하고 있는
    오늘날, 푸코가 간파한 주체화의 과정과 성의 장치(dispositif de sexualité)
    가 우리의 몸과 직결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면 이제 몸에 터를 잡는 실천
    적인 성문화를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traite le problème que de quelle façon Michel Foucault
    comprend notre corps, en divisant sa philosophie en la première et la
    dernière. Chez la première philosophie, il est remarquable de désubjectiviser
    et la rareté du sujet, selon la discussion sur les compréhensions mauvaises
    de la philosophie moderne sur sujet. En ce moment, notre corps est laissé
    à éclairer dans les corrélations entre le sujet et le pouvoir principalement,
    en tant que le point d’appui de pouvoir seulement. C’est-à-dire, Foucault
    fait des recherches sur les manières que notre corps est impliqué dans le
    pouvoir. Par le méthode de l’archéologie et la généalogie, il prétend la
    théorie de désubjectiviser qui mobiliser les historico-documents. Mais chez
    la dernière philosophie, notre corps est remarquable comme le point de
    départ à résistance et le point d’appui, qui est cherché à des étapes vrais
    de désubjectiviser en centre de sexualité. Alors notre corps est envisagé en
    la dimension qu’on cherche l’ontologie nouvelle, éthique et esthétique, non
    comme chez la première philosophie qui cherche notre corps historiquement
    et méthodologiquement. Alors, on peut estimer la philosophie de Foucault comme l’odyssée qui cherche à la subjectivité vraie. De nos jours, on doit
    se soucier de la culture sexuelle, pratique fondamentalement, qui fait notre
    corps comme le point d’appui autant que l’étape et le dispositif de
    sexualité sont en relations étroites avec notre cor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