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여성의 몸, 폭력과 구원 사이: 렘브란트의 <밧세바>를 중심으로 (Christian Women’s Body in Between Violence and Salvation: Focused on Rembrandt’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2
33P 미리보기
기독교여성의 몸, 폭력과 구원 사이: 렘브란트의 &lt;밧세바&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생명연구 / 31권 / 41 ~ 73페이지
    · 저자명 : 구미정

    초록

    한국교회가 성 스캔들의 온상처럼 대중에게 각인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비교적 최근에도 ‘청년목회’로 유명한 삼일교회 전 담임목사 전병욱 사건으로 진통을 앓았다. 그리고 늘 그렇듯이 우리는 교회 밖에서 일어나는 진실과 정의의 요구가 어떻게 교회 안에서 은근슬쩍 무마되는지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회 내 성폭력에 대하여 암묵적인 ‘침묵의 카르텔’이 구조화되어 있음을 방증한다. 이 침묵의 카르텔은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고, 피해자에게 고통과 비난을 가중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이런 까닭에 오늘날 한국교회는, 포함과 배제의 정치학을 통해 회중을 ‘라오스’(하나님의 백성)와 ‘오클로스’(고난받는 민중)로 나누어 지배한 유대 회당과 닮았다는 관찰이 설득력을 얻는다. 이러한 생명정치에서는 무력한 민중이 죄인으로 둔갑하고, 힘 있는 세력이 의인으로 행세하기 마련이다. 주류 교회가 이런 식의 생명정치를 구현하는 한, 상대적 약자인 여신도들에 대한 다중 억압이 지속될 공산이 크다.
    이 글은 교회 내 성폭력이 재현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두드러진 보기가 구약성서에 나오는 다윗과 밧세바 사건이다. 우리는 발화자의 윤리적 감수성에 따라 이 사건이 ‘간음’으로 재현되기도 하고, ‘강간’으로 재현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남성 신학자들과 설교자들이 그 사건을 밧세바가 다윗을 유혹하여 다윗이 부득불 범죄하게 된 것으로 해석해 왔음도 익히 아는 바다.
    흥미로운 것은 네덜란드의 화가 렘브란트의 해석이다. 그는 1643년과 1656년 두 차례에 걸쳐 <목욕하는 밧세바>를 그렸다. 처음 그림이 ‘간음’으로 재현되었다면, 나중 그림은 명백히 ‘강간’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 혹은 관점의 변화는 어디서 연유하는가? 나는 이를 그의 ‘민중 경험’에서 찾는다. 경제적 파산과 종교적 파문이라는 사적 체험을 통해 그는 비로소 무력한 자를 옹호하시는 하나님의 정치에 눈을 떴으며, 저항과 연대의 윤리를 그림 속에 녹여냈다고 하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영어초록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a hotbed of sex scandals. Jeon Byung-Wuk, who is a former pastor of Sam-il Church, can be a miserable example of many. In this case, an irrational and senseless attitude which has been shown by the pastor Jeon involved directly and by the denomination as well as the synod to which he belongs draw the crabs from the public, while a hush-hush atmosphere predominates in inner Korean churches as a whole. What does this cartel of silence mean?It seems that today’s Korean church closely resembles Jewish synagogue in the Gospel in sense of that it embodies the politics of inclusion and exclusion by dividing its congregation between laos(God’s people) and ochlos(suffering Minjung). Through this bio-politics, the powerless victims turn into sinners, and the powerful perpetrators have indulgence. It has nothing to say that this mainstream churches’ attitude serves as a mechanism of multi- oppression of women follow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ssess how to reenact the sexual violence in the church. We easily experience that the event which happened between David and Bathsheba in the Old Testament, for example, is reenacted whether as an adultery or as a rape depending on the ethical sensibility of the speaker. Then, it demonstrates that most of male theologians and preachers have absorbed in the patriarchical point of view seeing that they have blamed Bathsheba who was often said to lure David.
    It is interesting that Rembrandt, the worldly-renown Dutch painter, drew two different version of <Bathsheba at Her Bath> in 1643 and in 1656. He himself reenacted the ‘Bathsheba’ event as a adultery in 1643 and as a rape in 1656. We assume that the reason why he changed his view on the very same event resulted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as a Minjung. Through his work of <Bathsheba> in 1656, we are challenged to fomulate the ethics of resistance and solidarity and to join the God’s bio-politics to advocate the powerl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