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Bodies’ of Woman-Animal and Woman-Doll in Lee sang’s Literatur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8
34P 미리보기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8호 / 197 ~ 230페이지
    · 저자명 : 노지승

    초록

    이상 문학에서 자주 나타나는 초현실적인 변신은 고정적이며 안정된 실체로서의 몸이 아닌, 새롭게 변형되고 생성되는 몸을 형상화하고 있다. 특별히 이상 문학에서 변신이 여성의 몸이라는 매개를 통해 형상화된다는 점은 새롭게 주목해 볼만하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변신의 상상력은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형태로 드러난다. ‘동물되기’는 인간됨을 완전히 초월한 변신으로서 여성-동물 가운데 ‘여성-거미’와 ‘여성-새’는 종(種)을 가로지르는 횡단적 사유의 결과물이며 현실로부터의 탈주가 가능한 무성적(無性的)인 그로테스크한 몸들을 형상화한다. 한편 이상 텍스트에서 여성의 몸은 인형 그 가운데서 태엽 인형인 오토마타나 줄이 달린 꼭두각시로 표현되기도 한다. 여성의 신체를 미러링하고 있는 여성-인형의 몸은 여성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남성주체의 지배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여성-인형의 몸에 대한 남성인물의 지배욕망은, 이상 텍스트의 남성 인물들이 지속적으로 탈주를 위한 초월적 변신에의 욕망을 갖고 있지만 그들에게 끝내 포기하기 어려운 인간됨에 대한 집착이 남성성의 형태로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surrealistic metamorphosis frequently shown in Lee sang’s literature, are representing the newly transformed and formed body, instead of a body as an object of knowledge in modern medical science, and a fixed and stabled entity. Especially, it is valuable enough to newly pay attention to metamorphosis in Lee sang’s literature as it is represented through the mediation of woman’s body. In Lee sang’s texts, the imagination of metamorphosis through woman’s body is revealed in the form of woman-animal and woman-doll. In case of woman-animal, the woman-spider and woman-bird are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thinking that transcends the species, and representing such grotesque bodies that could run away from the reality. Meanwhile, in Lee sang’s texts, woman’s body is sometimes represented as automata which is a controllable clockwork doll or a puppet with strings. This inhuman body similar to human body is composed of inorganic matters, which represents a terrifying body different from animals. Even though the woman-animal and woman-doll mediate the deconstructive thinking that disturbs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Lee sang’s literature, the body of woman-doll is not free from the male subject’s desire to dominate others, especially, women. The desire to dominate woman’s body represented into doll, shows that the vestige of being humane the male characters or male subjects could not give up to the end is remained as a trace of masculinity in Lee sang’s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