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운의 사유와 체계이론 - 몸의 사유를 중심으로 - (The Sowoon’s Thinking and the System Theory : Focusing on the Body Think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9
30P 미리보기
수운의 사유와 체계이론 - 몸의 사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67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안호영

    초록

    오늘날 생각과 실천의 문제는 인간의 몸과 더불어 논의되고 있다. 몸은 생명이자 삶의 주체이며, 거주하는 공간에서 상호작용을 현실화하기 때문이다. 생명과 삶의 문제는 한편으로 생태학적이고 환경적인 지평으로 나아가고, 다른 한편으로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논의로 나아간다. 몸의 사유는 이러한 주체로서의 몸을 조명함으로써 상호작용이 어떻게 현실화 되는가를 보여준다.
    수운의 사유에 자양분을 제공했던 儒·佛·仙에서 논의되는 몸은 언제나 실천의 중심이다. 그리고 이러한 몸들의 상호작용은 주어진 상황에서 소통을 통해 사회적 체계들로 현실화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수운의 사유가 곧 몸의 사유임을 보임으로써, 이러한 논의가 루만의 자기준거적 자기생산 체계로 확장할 수 있는가를 조망하는 것이다.
    먼저, 수운의 사유에서 인간의 몸은 그 자체로 역설의 매체이자 형식임을 보일 것이다. 논의는 두 가지 역설의 의미를 탐구한다. 즉, ① ‘안[內]/밖[外]의 역설’과 ② ‘모심[侍]/앎[知]의 역설’이 제시된다. 이러한 역설은 각각 ① 오심즉여심(吾心即汝心)의 문제와 ② 질병의 실체와 더불어 해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믿음의 실체가 구체화됨을 보일 것이다. 끝으로 언어와 신체에 대한 루만의 진단을 수운의 사유에 적용할 때, 체계이론에서 보는 질병의 의미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oday, the problems of thought and practice are being discussed along with the human body. This is because the body is life and the subject of life, and interaction in the living space is realized. Life and life issues, on the one hand, move toward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orizons, and on the other hand, move towa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human discussions. Body thinking shows how interaction becomes a reality by illuminating the body as a subject.
    The body discussed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provided nourishment for the Suwoon’ thinking, is always the center of practice.
    And the interaction of bod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s realized as social systems through communication in a given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 whether these discussions can be expanded to Luhmann’s Self-referential Autopoietic Systems by showing that the Suwoon’s thinking is the body thinking.
    First, it will show that the human body is itself a medium and form of paradox in the Suwoon’s thinking. Discussion explores the meaning of two paradoxes. In other words, (i) ‘the paradox of inside[內]/outside[外]’ and (ii) ‘the paradox of serve[侍]/knowledge[知]’ are presented. Each of these paradoxes can be resolved along with (i) my heart is your heart(吾心即汝心) and (ii) the substance of your disease, and through this, it will show that the reality of faith is embodied. Finally, when Luman’s diagnosis of language and body is applied to the reasons of Suwoon, the meaning of disease seen in system theory will be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