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 담론과 페미니즘으로 보는 가수 보아의 <걸스 온 탑> (Discussing on BoA’s Girls On Top with Body Discourse and Feminism)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6
46P 미리보기
몸 담론과 페미니즘으로 보는 가수 보아의 &lt;걸스 온 탑&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학학회
    · 수록지 정보 : 音.樂.學 / 31권 / 1호 / 7 ~ 52페이지
    · 저자명 : 변화음

    초록

    본 논문은 몸 담론과 페미니즘을 토대로 가수 보아(BoA, 권보아, 1986~ )의<걸스 온 탑>(Girls On Top, 2005)에 대한 음악 비평으로, 사운드와 뮤직비디오, 라이브 무대의 퍼포먼스를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주체적이고 저항적인 독보적 여성상을 제시한 <걸스 온 탑>의 가치와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랜 기간 대중음악, 특히 댄스음악은 진지한 음악 연구의 대상으로 여겨지지않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댄스음악이 인간 ‘몸’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다는데에 있다. 몸과 정신을 구분하고 몸을 열등하다고 여긴 서구철학의 사고는 음악담론 속에서 반복되는데 특히 한슬리크의 음악미학, 그리고 비밥과 록의 변천 과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서구철학의 이분법적 사고체계에 따라 여성은 남성의 타자이자 몸 그 자체로 환원되어왔다. 특히 음악산업의 구조 속에서 여성의몸은 “남성적 응시”(Male Gaze)에 따라 쉽게 성적 대상으로 파편화 및 상품화되어 재현된다. 또 남성 가수에 비해 아름다움의 기준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현실속에서 여성 가수들은 창조적, 음악적 능력보다는 외모와 몸으로 조명되어 이미지로 소비되곤 한다. 이처럼 음악산업구조 속 여성 가수는 ‘몸’과 ‘여성’이라는이중의 억압에 놓인 취약한 장소에 서 있다. 정신에 비해 열등하고 저급한 ‘몸’과 아름다운 외모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그에 따라 소비되는 ‘여성’ 가수라는 이중의 억압에도 불구하고, 보아의 <걸스 온탑>은 이에 쉽게 포섭되지 않는 주체적이고 당당한 여성상을 제시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사운드, 뮤직비디오, 라이브 무대의 퍼포먼스적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몸 담론과 페미니즘을 경유하는 지적토대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걸스 온 탑> 제작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했던 보아의 창조적 활동과 발화에 주목해서, 저항적이고 주체적인 음악과 퍼포먼스를 완성한 보아 <걸스 온 탑>의 의미를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해석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music critique of singer BoA (권보아, 1986~ )’s Girls On Top (2005) based on body discourse and feminism. This paper aims to analyze sound, music videos, and performance on the live stage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and reveal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Girls On Top, which presents an independent and resistant female image in the K-pop music industry.
    For a long time, popular music, especially dance music, has not been considered the subject of serious music research, one of the reasons is that dance music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Western philosophical thinking, which distinguishes the body from the mind and considers the body inferior, is repeated in music discourse, especially in Eduard Hanslick’s musical aesthetics, and the transformation of be-bop and Rock.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ichotomous thinking system of Western philosophy, women have been reduced to men’s others and the body itself. In particular, in the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women’s bodies are easily fragmented and commercialized and reproduced as sexual objects in accordance with “Male Gaze”. In addition, in a reality where the standard of beauty is strictly required compared to male singers, female singers are often illuminated by their appearance and body rather than their creative and musical abilities and consumed as images. As such, female singers in the music industry structure stand in a vulnerable place under the double oppression of ‘body’ and ‘women’.
    Despite the double oppression of being a ‘body’ that is inferior to the spirit, and a ‘female’ singer who is required and consumed by beautiful appearance, BoA’s Girls On Top presented an independent and confident woman image that is not easily include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based on intellectual foundations through body discourse and feminism while examining sound, music videos, and performance on the live stage.
    In particular, I will pay attention to BoA’s creative activities and utterances that actively presented and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Girls On Top. Through this, the meaning of BoA’s Girls On Top, which completed resistant and subjective music and performance, is dealt with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