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할 창조를 위한 ‘몸틀(body schema)’ 형성 연구 (A Study on Forming 'Body Schema' for Role Crea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4
40P 미리보기
역할 창조를 위한 ‘몸틀(body schema)’ 형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52호 / 319 ~ 358페이지
    · 저자명 : 송효숙

    초록

    ‘몸틀’ 형성은 배우의 역할 창조를 위한 출발이며, 무대에서 역할로서 존재하는 근원이자 토대가 된다. 이를 위해서 배우는 자신의 ‘몸틀’에서 벗어나 ‘역할의 몸틀’을 형성해야 한다. ‘역할의 몸틀’은 역할의 신체적 조건으로, 역할이 살았을 법한 환경에서, 역할로서의 일상적인 기초 행동들 즉 걷기, 서기, 앉기, 손 뻗기, 굽히기, 만지기 등을 종합하여 획득함으로써 형성된다. 기초 행동의 몸틀은 환경과의 관계에서 형성되고, 의식은 환경에서 경험한 것으로 생기기 때문에 역할로서의 의식을 형성하는 데에는 반드시 극적 환경과 상호 관계해야 한다. 역할의 의식을 가진 몸틀은 배우와 역할에 대한 경계에서 최소한의 역할로서의 신체 동일성을 확보한 몸이 된다. 일상의 기초 행동에 의한 ‘역할의 몸틀’은 역할로서의 의식과 에너지가 흐르면서, 역할의 과거 흔적들이 배어있는 몸이 된다는 데에 본질적인 의미가 있다.
    몸틀을 형성하는 과정은 제일 먼저 배우가 인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역할을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볼 수 있는 사진, 잡지, 그림 그리고 영상과 같은 시각화된 자료를 가져야 한다. 배우에게는 연기하는 동안 항상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3차원의 이미지상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행동을 신체 구조와 원리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영상 자료가 더욱 유용하다. 다음으로 몸틀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두 번의 몸틀 형성 과정을 거쳐야 한다. 첫 번째는 배우 자신의 일상에서 역할의 신체적 조건으로 역할의 일상적인 기초 행동에 대한 몸틀을 만든다. 두 번째는 공연 환경에 맞추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기초 행동의 몸틀을 만든다. 연극 무대는 일상의 공간과는 다른 리듬과 규칙의 시공간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 단계의 몸틀 없이 바로 두 번째 단계에서 몸틀을 형성하는 것은 결국 역할의 몸이 아닌 배우 자신의 몸으로 존재하는 것이 된다. 두 번의 과정으로 형성된 몸틀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진정으로 역할로서의 동일성을 갖는 것이며, 신체적 측면에서는 근육의 저항하는 힘, 에너지의 질적 변화, 정서적 동요를 경험하게 되고, 인지적 차원에서는 지각, 사고, 의지, 의식 등의 변화까지 온몸으로 체험함으로써 몸틀 형성은 곧 정신적, 정서적 층위까지 변화시키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몸틀은 체화와 습관의 과정이 없다면 만들어질 수 없다. 체화와 습관은 단순히 신체의 반복된 무의미한 기계적인 행동이 아니라 습관 자체가 역할 창조를 위한 몸틀 형성에 매우 중요한 의미들을 갖고 있다. 첫째, 습관은 몸이 스스로 의미를 배우고 이해하게 한다. 둘째, 습관은 환경에 의존하므로 습관화된 몸틀을 만드는 배우에게 환경을 인식하게 한다. 셋째, 습관은 마음을 만든다. 습관화된 몸틀은 곧 그 몸틀을 소유한 자의 마음이고 자아이다. 넷째, 습관은 에너지의 확장과 존재의 확장을 경험하게 한다. 배우의 몸과 도구, 환경의 상호 관계를 통해 경험할 수 있다. 다섯째, 습관은 신체의 동일성을 만들기 때문에 이는 곧 역할의 동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습관의 함의들은 신경 적응 과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확고하게 기억된 몸으로 유지되는 몸틀의 형성이다.
    마지막으로 들뢰즈의 ‘-되기’론을 통해 역할 창조를 위한 몸틀 형성의 한 방법으로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실제적 동물-되기’는 신체적 차원에서의 구조적인 변형을 이루는 실재적 ‘-되기’로서 몸틀 형성이 현재성, 실재성을 추구한다는 것과 만난다. 이는 들뢰즈/가타리의 ‘모든 ‘-되기’(becoming)는 분자적’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동물의 특성을 흉내 낸 동물-되기’는 몸틀이 환경에 의존하여 형성되는 것과 같이 몸과 도구, 환경과의 관계가 의식, 사고, 정서 등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에는 역할로의 확장 즉 존재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실천 방법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Formation of 'body schema' is the start for actor to create role and becomes the root and the foundation of existing as a role on the stage. For this, an actor needs to form 'scheme of role' with escaping from own 'body schema.' 'Schema of role' is formed by acquiring through synthesizing daily basic actions, namely, walking, standing, sitting, hand stretching, bending, and touching. The body schema, which was made with simple and usual actions, has fundamental significance in a sense of becoming the body in which the past traces in a role are habituated while energy as a role flows.
    As for the process of forming body schema, an actor first needs to obtain the visualized materials like photo, magazine, picture and image available for seeing a role specifically and clearly based on what analyzed a character. An actor needs to have three-dimensional image available for always recalling it in the head during acting. To do this, image data available for fundamentally capturing routine actions along with body structure are still more useful. Next, the body schema is formed by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Thus, there is a need of passing through the two-time process of forming body schema. Firstly, the body schema is made on routine actions in a role as physical condition of a role in actor's own everyday life. Secondly, the body schema is made on routine actions available for moving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in line with the environment of performance. A theatrical stage is the temporal space of rhythm and rule different from routine space. What forms body schema immediately in the second phase without body schema in the first phase ultimately becomes what exists as actor's own body, not the body of a role. The body schema, which was formed as the second process, is what truly has identity as a role in the ontological aspect, comes to experience the oppositional force in muscle, a qualitative change in energy, and emotional agitation in the physical aspect, and experiences perception, thinking, volition, and even consciousness with the entire body in the cognitive dimension. Thus, the formation of body schema can be known to be just a method of changing even spiritual and emotional layer.
    Body schema cannot be made if there is no process of embodiment and habit. Embodiment and habit are not simply the repeated, empty and mechanical action in the body. But, habit itself has very important meanings for forming body schema for role creating. First, habit allows the body itself to learn and understand a meaning. Second, habit relies upon environment, thereby allowing an actor of making the habituated body schema to recognize environment. Third, habit makes the mind. The habituated body schema is just the mind and the ego of a person who possesses the body schema. Fourth, habit comes to experience the expansion in energy and the expansion in existence. It may be experienced through interrelation among actor's body, tool, and environment. Fifth, habit makes identity of the body. Hence, this just becomes what secures identity of a role. These implications of habit are the formation of body schema, which is maintained with the body of being remembered firmly through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the process of neural adaptation.
    Finally, it sought for possibility of practice as one method of forming body schema for role creating through Deleuze's ‘-becoming’ theory. As ‘actual animal-becoming’ is real ‘-becoming’ of form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e physical dimension, it meets with what the formation of body schema pursues actuality and reality. This was explained with a concept as saying of ‘all ‘-becoming’ molecular’ by Deleuze/Guattari. ‘Animal of having imitated animal's characteristic- becoming’ is formed by which the body schema relies upon environment. In this way, relationship among the body, tool and environment has influence even upon a change in consciousness, thinking, and emotion, thereby being able to be useful for forming body schema in a sense of possibly experiencing ultimately expansion in role, namely, expansion in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