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의 기억과 의례의 시간 (Bodily Memory and Ritual Tim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06
26P 미리보기
몸의 기억과 의례의 시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4권 / 2호 / 151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종환

    초록

    기독교 예배는 아남네시스로서의 기억과 그리스도의 몸의 형성에 관한 것이 다. 아남네시스는 인식작용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억을 통해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육체적이고 공동체적인 “몸”을 형성한다. 우리가 예배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으로 형성되어간다면, 우리는 그 그리스도의 몸을 어떻게 기억하고 전달하고 경험 하는가? 예배라는 의례를 통해 기억되고 경험되는 의례화(ritualized)된 그리스도의 몸이 어떻게 가능한가? 필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의례와 기억의 관계를 논하는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의례를 주로 상징과 의미의 의사소통으로 말하는 초기의 의례 학자들은 기억을 마치 의례를 통해 전달되는 사물과 같이 이해했다. 빅터 터너에게 있어서 문화적 가치, 규범, 태도, 정서 및 관계를 내포하는 문화적 기억은 상징을 통해서 의례 참여자에게 전달된다. 터너에 따르면, 의례는 기억의 전달을 통해 개인을 집단에 통합시키는 정체성을 부여하는 장치이다. 로렌스 호프만도 상징하는 사물이 어떤 순간의 기억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의 학자들은 의례행위는 몸에 기억을 기록하는 행위라고 주장한 다. 그들은 실제적으로 몸에 구현된 기억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아가 의례의 현장 에서 참여자가 기억만이 아니라 망각을 선택할 수 있는 복잡한 차원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의례를 실천의 관점에서 볼 때, 기억은 더 이상 사물이 아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억은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데 이 과정은 상대적이고 유동적이며, 사회적이고, 따라서 모든 이에게 동질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기억은 문자 그대로 몸을 형성하는 의례 관행을 통해 의례화된 몸과 사회적 인간에 각인된다. 또한 기억과 망각의 정치가 의례적으로 협상되기 때문에 신체는 의례 행위에서 경쟁하는 장소가 된다. 또한 의례화된 몸이 전통을 창조하고 과거와의 연속성을 통해 권위를 주장하는 것은 의례 관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기억과 몸의 형성에 대한 질문들을 대답하기 위해서 다양한 의례학자들의 통찰력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유익하다. 필자도 의례학자들의 주장과 같은 맥락에서 아남네시스로서의 기억은 사물로서가 아니라 실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다. 따라서 실제 회중이 예배를 드릴 때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을 기억하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을 더 깊이 살펴보아야 한다. 나아가 의례에서의 기억과 시간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의례에서 기억이 갖는 시간의 궤적은 무엇인지, 의례가 과거를 현재로 가져오는 하나의 사건인지 아니면 문화적 지식을 저장하는 창고인지, 아니면 의례에 참여하는 어느 순간에 기억이 창조되는 것인지 고찰하였다. 의례 학자들이 과거의 사건이나 미래의 비전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대로 전달되는 수동적이고 정적인 것인지 아니면 유동적이고 변화 가능한 것인지를 다루었다.

    영어초록

    Christian worship is about memory as anamnesis and the formation of the body of Christ. Anamnesis does not remain in the cognitive process but forms a physical and communal “body” that resembles Christ through our memory in worship. If we are formed into the body of Christ through worship, how do we remember, transmit, and experience the body of Christ? How is it possible for a ritualized body of Christ to be remembered and experienced through the Christian worship?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theories of scholars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tual and memory.
    Early ritual scholars, who spoke of rituals mainly as communication of symbols and meanings, understood memory as something transmitted through rituals. For Victor Turner, cultural memories that contain cultural values, norms, attitudes, emotions and relationships are transmitted to ritual participants through symbols. According to Turner, a ritual is a device that gives an identity that unites an individual into a group through the transfer of memory. Lawrence Hoffman also argues that symbolic objects evoke memories of a certain moment.
    However, recent scholars claim that ritual acts are the act of recording memories in the body. They are talking about memories that are actually embodied in the body.
    Furthermore,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complex dimension in which participants can choose not only to remember but also to forget at the site of the ritual. But when we look at the ritual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ce, memory is no longer a thing.
    Relatively technically, over time, memories ar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and are much more fluid, social, and therefore do not have a homogeneous meaning for everyone. Memories are imprinted on ritualized bodies and social humans through ritual practices that literally form bodies. Also, as the politics of memory and oblivion are ceremonially negotiated, the body becomes a competing site in the ceremonial act.
    It is also through ritual practice that the ritualized body creates tradition and asserts authority through continuity with the past.
    The insight of the second school is very useful to answer questions about memory and body formation through the research of ritual scholars. I also think that memory as anamnesis in worship should be understood as practice, not as an object.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meaning of worship that remembers the life and death of Christ when the actual congregation worships, we need to look deeper into the actual and concrete field.
    Furthermore,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time in rituals.
    We considered what the trajectory of time memory has in the ritual, whether the ritual is an event bringing the past to the present, a storehouse of cultural knowledge, or the moment when the memory is created when participating in the ritual. It deals with how ritual scholars understand past events or visions of the future, whether they are passive and static, or fluid and changeable, transmitted ove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