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12
11P 미리보기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6호 / 55 ~ 65페이지
    · 저자명 : 오정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통해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의 유·무형적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상업시설 내 어린이 공간의 개념과 도입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파인(Pine)&길모어(Gilmore)와 슈미트(Schmitt)의 체험요소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사례 분석대상을 통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개수, 용도, 위치, 인접 테넌트 특성 등)과 어린이 놀이공간의 물리적 환경이나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상지의 어린이 공간은 A 쇼핑몰의 실내·외 소규모 놀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공간이 유료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당 공간은 대부분 미술, 체육, 블록과 같이 유사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편의시설은 수유실(유아휴게실)과 유모차대여소에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경우 대부분 특정 층에 집적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매장은 아이나 부모의 패션, 잡화 등의 판매 공간 또는 아이가 체험공간을 이용 시 부모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식음료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놀이공간의 체험 특성을 살펴보면 체험요소의 수준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A 쇼핑몰이 B 쇼핑몰에 비해 인지성과 충동성 체험요소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심미성 체험요소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복합쇼핑몰의 어린이 놀이공간은 전체 쇼핑몰의 1차적인 집객을 유발하는 목적성 매장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어린이 공간 인접 매장은 타깃을 공유하거나 연계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매장을 인접배치한다. 무료 놀이체험 공간에 대한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편의시설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공간에도 타 쇼핑몰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과 조형적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매장의 경우 제품의 직접적 경험을 통한 긍정적 인식 형성은 지속적인 제품 판매 및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능하면 매장은 제품을 경험하는 체험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s, and seeks to analyz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Ultimately, we intend to construct a basic database by deriv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rrent trends in the compound. (Method) The research method encompasses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children’s space within a commercial on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we extract the common keyword for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s through their behavior that is based on reviewing experience factors of Pine & Gilmore and Schmitt. Finally, the case study is execu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children’s spat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contents of play space. (Result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oor and outdoor free playgrounds in case A, all of the space zone of case A and B are operated as paid facilities. Much of the space wa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such as art, physical education, and blocks, but consisted of very diverse programs. However, amenities are limited to the infant lactation room (infant resting room) and the stroller rental desk. Second, the children’s play rooms are concentrated in the particular floor of shopping mall. Most of the stores adjacent to children’s play space are utilized for either sales, fashion goods targeting the kids and parents, or for food and beverage areas where parents can rest while their child is playing. Next, the degree of experience in the play space reflects how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ele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hen compared to case A to B, the level of cognition and impulsiveness experience factors of case A is slightly lower, but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hildren’s play spaces should play a tactical role as a key tenant that attracts shoppers in the first place. Moreover, the stores that can share the target or cause links should be located near the children’s space. Also, the need for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program for the free pla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it should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introducing various color and artistic elements in shared spaces that can stimulat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for the sale of the product,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duct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lead to continuous product sales and consumption, the store should be configured to fulfill the role of the place where experience marketing is realized as experience the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